[사설] 중장년층 치매 급증 대책마련 시급하다

입력 2014-09-30 03:30
가족 중에 치매 환자가 발생하면 너나 할 것 없이 간병에 큰 어려움을 겪는다. 가정불화의 직접적 원인이 되기도 한다. 치매를 가정파괴범이라 부르는 이유다. 더 큰 문제는 치매 환자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진료 통계에 따르면 치매 환자는 2009년 21만7000명에서 지난해 40만5000명으로 4년 사이 무려 87.2%나 늘었다. 70세 이상 환자가 전체의 86.9%로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40세 미만 환자 증가율도 43.4%나 돼 눈길을 끈다. 치매가 중장년층을 비롯한 모든 연령층을 위협하고 있다는 얘기다.

치매는 노화의 일종이지만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전문가들의 진단을 종합해보면 우리나라에 치매 환자가 급증하는 것은 열악한 사회·경제적 환경 탓일 가능성이 크다. 이제 의식주를 걱정하는 사람은 거의 사라졌지만 지나친 경쟁에서 비롯된 스트레스, 과도한 흡연과 음주, 운동 부족 등이 치매를 부른다는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2020년엔 치매 환자가 80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건강보험 재정을 위협할 수도 있다. 정부는 치매가 자칫 국가 재앙으로 발전할지도 모른다는 인식을 갖고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치매 환자 발생을 줄이는 문제다. 보건복지부가 전개 중인 3권(勸)-3금(禁)-3행(行) 캠페인을 활성화해야겠다. 걷기, 신문·책 읽기, 생선·채소 많이 먹기-금연, 금주, 머리 다치지 않기-만성질환 정기검진, 가족·친구 연락하기, 치매 조기 검진이 그것이다. 노인회관뿐만 아니라 학교와 직장, 가정에 대해서도 홍보를 강화해 온 국민이 관심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치매 환자를 더 이상 가정에 맡겨서는 안 된다. 경증이라도 최소한 가족 한 명이 직장을 그만두고 보살펴야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매우 크다. 치매 전문 병원을 값싸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병원이나 시설에 맡겨진 치매 환자가 인권 사각지대에 놓이지 않도록 정부가 감독을 한층 강화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