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척추센터 이준우 교수팀은 아스피린 등 혈액순환제를 복용 중인 고령의 척추협착증 환자들에게 신경주사 대신 ‘영상 투시장비 유도하 척추 후관절 주사 요법’을 시술, 60%를 완치시키는 성과를 거뒀다고 25일 밝혔다.
척추협착증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병하는 질환이지만 대부분 신체적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가 원인이다. 때문에 노화가 진행되면서 척추를 감싸고 있는 관절, 인대 등이 두꺼워져 점차 폭이 좁아지게 되면서 신경들이 압박을 받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신경이 받고 있는 압박과 자극이 허리와 하체에 심각한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또 고령의 척추협착증 환자에게는 수술에 따른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비(非)수술적 치료법인 ‘신경주사요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신경주사는 척추 뼈 사이의 공간을 통해 신경을 싸고 있는 막 바로 바깥쪽까지 주사침을 찔러넣어 소염 진통 효과가 있는 약물을 주입하는 치료법이다.
하지만, 고령의 환자들은 척추관협착증 외에도 다른 질환 때문에 아스피린 등의 혈액순환제를 복용하는 경우가 많아 신경주사 시술시 출혈 위험이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 게다가 신경주사 시술은 신경 바로 옆까지 주사침을 찔러야 하기 때문에, 출혈이 일어나는 경우 신경 마비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생길 위험도 있다.
고령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런 부작용을 최소화할 목적으로 고안된 치료법이 ‘척추 후관절 주사요법’이다. 이 치료법은 협착증이 있는 신경이 지나가는 척추관절의 뒤쪽에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주사침이 신경을 건드릴 위험이 거의 없고, 약물만 관절을 통해 신경 주변으로 흐르게 하기가 쉽다. 그 결과 신경주사에 비해 주사침에 의한 출혈이 신경주위에서 일어날 위험성도 적다. 연구결과는 방사선 전문 국제 학술지 ‘유로피안 래디올로지’(European Radi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영상 유도 척추 후관절 주사, 협착증에 효과
입력 2014-09-29 0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