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년간 1∼2인 가구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4∼5인 가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급격한 가족구조의 변화는 고용과 소득 불안정, 급격한 고령화, 저출산 현상, 이혼율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됐다.
보건사회연구원 사회정책연구본부 김유경 연구위원은 26일 통계청 자료 등을 분석한 ‘가족변화양상과 정책 함의’ 연구보고서를 내놓았다. 가구 규모별로 변화 결과를 보면, 1990년에는 4인 가구(29.5%) 5인 이상 가구(28.7%) 3인 가구(19.1%) 2인 가구(13.8%) 1인 가구(9.0%) 순이었다. 20년이 지난 2010년에는 1∼2인 가구가 급속도로 증가했다. 2인 가구(24.3%)와 1인 가구(23.9%)가 가장 많았고, 4인 가구(22.5%) 3인 가구(21.3%) 5인 이상 가구(8.1%)가 뒤를 이었다. 20년 만에 1∼2인 가구는 22.8%에서 48.2%로 늘었고, 4∼5인 가구는 58.2%에서 30.6%로 줄었다.
한 집에 여러 세대가 모여 살던 구조도 핵가족으로 단순화됐다. 같은 기간 1세대 가구는 10.7%에서 17.5%로 늘어난 반면 2세대 가구는 66.3%에서 51.3%로, 3세대 이상 가구는 12.5%에서 6.2%로 줄었다.
통계청 조사 결과, 부모 부양은 가족의 책임이라는 인식은 1998년 89.9%에 달했으나 2012년 들어서는 33.2%로 급락했다. 부모 부양이 사회책임이라는 인식은 1998년 2.0%에서 2012년 52.9%로 껑충 뛰었다.
고용과 소득 불안정, 양육부담 등으로 인한 만혼화와 혼인기피 현상도 심화되고 있다. 남성 초혼연령은 1990년 27.8세에서 2013년 32.2세로, 여성 초혼연령은 1990년 24.8세에서 2013년 29.6세로, 각각 4.4세와 4.8세 상승했다. 가족결속력이 약화되면서 인구 1000명당 이혼건수는 1990년 1.1건에서 2013년 2.3건으로 증가했다. 김 연구위원은 “1인 가구와 이혼가족 등 구조적 취약가구의 증가를 고려해 부부 중심의 가족형태에 대한 인식을 지양하고 다양한 가족유형에 맞춰 가족의 다양한 가치관과 욕구를 인정하고 뒷받침하는 방향으로 가족정책을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수정 기자
1∼2인 가구 20년 만에 22.8%→ 48.2%
입력 2014-09-27 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