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만여개 직업훈련 기업현장에 맞게 개편

입력 2014-09-26 03:45
정부가 현장중심의 인재 양성을 위한 구체적인 대책을 내놓았다.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직업능력개발 모델을 만들고, 정부 차원의 일원화된 직업훈련 평가체계도 도입하기로 했다.

고용노동부는 25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직업능력개발 혁신 3개년 실천계획’을 발표했다. 지난 4월 발표한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인력개발 부문을 구체화한 것이다.

정부는 산업계 대표, 노동계 대표, 인적자원개발(HRD) 전문가들로 구성된 ‘직업훈련혁신 및 심사평가위원회(심평위)’를 내달 발족하기로 했다. 심평위는 산업별로 필요한 지식·역량을 정리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마련하는 역할을 한다. 직업자격제도도 현장 중심으로 개편한다. 시험이나 학교 교육 중심에서 기업 현장, 직무능력 중심으로 측정하는 새로운 직업자격제도가 도입된다. 올해 기계, 재료, 소프트웨어 등 7개 분야에 먼저 적용한 후 내년까지 전체 분야로 확대한다. 2016년부터는 직업훈련을 새롭게 마련된 직업자격제도와 연계하도록 의무화한다. 정부는 이를 통해 그동안 기업의 수요와 관계없이 제공되던 13만여개 직업훈련 과정을 기업 현장에 맞게 단계적으로 개편할 예정이다.

청년들이 일과 학습을 병행하면서 직업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했다. 2015년부터 특성화고 3곳, 기업학교 4곳 등에 스위스식 직업학교를 시범 추진해 일·학습 병행을 확대한다. 일반계고 비진학자 3만4500명과 특성화고 입시에 탈락한 학생들을 폴리텍대학 등을 통해 직업 훈련을 받게 해 일·학습 병행 기업에 취업토록 했다. 일·학습병행제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대학도 2017년까지 20개 육성할 계획이다.

취약계층이 좀 더 수월하게 직업 훈련을 받을 수 있는 길도 열렸다. 내년부터 여성, 중장년, 실업자 등은 누구나 자신이 원하는 직업 훈련에 참여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제가 폐지된다. 올해 하반기 다시 일하고 싶은 경력단절 여성을 위한 훈련과정을 개설하고, 내년부터 경력단절 여성을 채용하는 기업에 연간 860만원의 고용촉진지원금을 대준다. 중장년층을 채용하는 기업에는 월 60만원까지 1년간 인턴비용을 지원한다.

‘학벌이 아닌 능력 중심 사회’를 구축하기 위해 보상체계를 개편한 기업은 ‘능력만세 기업’(가칭)으로 선정해 인센티브를 제공키로 했다. 사업별로 분산돼 일관된 평가가 이뤄지지 못하던 직업훈련 심사·평가체제도 훈련심사평가원(가칭)을 설립해 통합할 계획이다.

세종=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