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금리 기조로 정기적금 금리가 3%대 초반까지 떨어지면서 찬밥신세였던 재형저축에 관심을 보이는 사람이 늘고 있다. 재형저축 금리는 최대 연 4.6%에 달한다.
25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신한·우리·하나·농협·기업·산업 등 7개 은행의 재형저축 신규 가입 계좌 수는 지난 7월 8077좌, 8월엔 7634좌로 6월(4082좌)의 2배로 증가했다. 재형저축은 서민들의 종잣돈 마련을 돕기 위해 지난해 3월 부활한 정책금융 상품이다. 출시 당시 이자소득세(14%) 감면 등의 혜택으로 133만명의 가입자를 끌어모으며 인기몰이를 했지만 5개월 만에 증가세 부진을 보이다 가입자가 되레 감소했다. 총급여 5000만원 이하만 가입 가능하고 7년 이상 유지해야 하는 등 조건이 까다롭기 때문이다. 돈을 묶어놓을 만큼 금리가 과거처럼 높지 않은 것도 한 이유다.
하지만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하고 또 한번 금리를 내릴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재형저축이 주목받고 있다. 현재 정기적금 금리(1년 만기)는 연 2% 후반대다. 우대금리를 받아도 3%를 갓 넘긴다. 반면 재형저축은 우대금리를 포함해 혼합형의 경우 연 4.5∼4.6%의 금리를 제공한다. 혼합형 상품은 가입 후 3년간 제시된 고정금리를 적용하고 이후 4년은 변동금리로 바뀌는 상품이다.
재형저축에 관심을 보이는 사람이 늘었지만 전반적으로는 실적이 부진한 상황이다. 초기부터 지적됐던 가입 대상, 소득공제 등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여전히 연소득 5000만원 이하 직장인과 종합소득 3500만원 이하 사업자만 가입할 수 있으며 장기주택마련저축과 달리 소득공제 혜택도 없다.
박은애 기자
초저금리시대, 다시 주목받는 재형저축
입력 2014-09-26 0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