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유엔총회에서 천명한 기조연설은 박근혜정부 전체 임기를 관통하는 평화통일 및 국제협력 구상이다. 박 대통령은 회원국 정상 자격으로 행한 일곱번째 연설을 통해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은 물론 인류의 상생공영을 위한 우리 정부의 기여 의지도 분명한 어조로 천명했다. 특히 국제평화와 안보, 인권 증진, 경제사회 개발이라는 유엔 3대 임무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상호 협력 필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한반도 통일에 대한 국제사회 지원 호소=박 대통령은 우리 정부의 통일에 대한 염원과 국제사회의 협력, 지원 필요성을 이번 연설에 두루 담았다. 정부의 한반도 평화통일 기반 구축을 위한 큰 틀의 구상과 구체적 실행방안, 당위성을 직접적인 어조로 유엔 회원국들에 호소했다.
우선 박 대통령은 한국이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라는 사실을 지적하고 이산가족 등 남북 주민들이 겪는 고통을 거론했다. 이어 남북 간 환경, 문화의 통로(corridor) 건설 제안, 생활공동체, 비무장지대(DMZ) 세계생태평화공원 제안 등을 열거하면서 통일 준비를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도 소개했다. 이런 한반도 통일의 첫걸음에 유엔 등 국제사회가 앞장서 달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특히 DMZ 세계평화공원에 대해선 “유엔 주도 하에 남북한, 미국, 중국 등 전쟁 당사자들이 참여해 국제 규범과 가치를 존중해 공원을 만든다면 한반도 긴장 완화와 평화통일의 시금석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엔은 물론 6·25전쟁 정전협정 당사국이 결자해지 차원에서라도 직접 나서서 한반도 분단 해소를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는 의미다. 박 대통령은 또 북한에 대해 핵을 스스로 포기하는 결단을 촉구하면서 이를 인류 평화에 대한 심각한 위협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했다. 정부 관계자는 “한반도 평와와 통일에 대한 당위성과 우리 정부의 비전을 알리고 국제사회의 협력을 이끌어내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북한인권, 탈북자 자유의사 직접 거론=박 대통령은 북한 주민의 인권, 또 북한이탈주민의 인권도 강조했다. 북한 주민 인권에 대해선 지난 3월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 조사 결과를 거론하는 식으로 언급했고, 탈북민에 대해선 자유의사를 강조했다. 특히 ‘탈북민의 자유의사에 따른 목적지 선택’에 방점을 두면서 유엔 해당 기구, 관련 국가들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관련 국가는 중국을 비롯한 탈북 주요 루트가 되는 국가들이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6월 한·중 정상회담에서 시진핑 국가주석에게 탈북민 문제를 인도적으로 처리해 달라는 요청을 한 적이 있다. 이를 다시 국제무대에서 재차 강조한 것은 남다른 의미를 갖는다. 탈북민의 북한 송환 같은 일은 비인도적 처사로, 어디까지나 인도적 차원에서 탈북민 선택지에 대한 배려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동 문제 등 글로벌 이슈도 언급=이번 기조연설은 유엔 회원국 정상들을 대상으로 한 발언답게 글로벌 이슈에 대한 우리 정부의 기여 및 노력도 피력됐다. 박 대통령은 ‘우리, 인류(we the people)’를 거론하며 국제사회에서 벌어지는 크고 작은 분쟁과 갈등이 해소돼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특히 최근 심각한 국제적 위협으로 부상한 이슬람국가(IS)의 외국인 테러전투원 문제, 아프리카에서 창궐하고 있는 에볼라 바이러스 퇴치에 대한 국제사회의 협력도 강조했다. 국제적인 절대빈곤, 기후변화 대응을 연설에 포함시킨 것도 같은 대목이다.
박 대통령은 유엔본부 총회 회의장에서 15분가량 전 세계 110여개국 정상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우리말로 연설했다. 박 대통령은 양자 및 다자 정상회의 때 영어나 현지어 연설도 해왔지만 유엔총회 기조연설은 국가 정상의 모국어로 하는 관례를 따랐다.
박 대통령은 빡빡한 현지 일정을 소화하던 중 가벼운 몸살 증세를 보여 링거를 맞기도 했다. 지난 3월 핵안보정상회의 참석차 네덜란드 헤이그를 방문했을 때도 심한 몸살 때문에 몇몇 일정을 취소한 뒤 링거를 맞고 휴식을 취했었다.
뉴욕=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朴대통령 첫 유엔총회 연설] ‘통일 비전’ 알리고 국제사회에 협력 호소
입력 2014-09-25 1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