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한 해 서울 강남지역에서 아파트 재건축 시행으로 2만4000가구가 주변 지역으로 이주할 것으로 예상돼 서울시가 전셋값 안정대책을 내놨다.
서울시는 24일 “올 하반기부터 내년까지 강남·강동·서초·송파구 등 4개 구에서 재건축 사업이 집중적으로 추진돼 2만4000가구가 이주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주택 공급량 부족, 전세가 상승 등 불안심리에 적극 대처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시는 강남구 개포지구, 강동구 고덕지구, 서초구 신반포지구 등이 올해 말 관리처분계획인가를 신청하고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이주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이주 세대의 70%가 주변 지역에서 다시 전셋집을 구한다고 가정하면 강남 4구에서는 1만8000가구가 필요하지만 공급은 9000가구에 불과해 강남 지역 전세난이 가중될 것으로 내다봤다.
시는 집중적인 이주에 따른 부작용을 완화하기 위해 자치구, 조합과 협력해 조합별 이주시기를 조정하기로 했다. 자율 조정에 실패할 경우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조례’를 개정해 이주시기를 강제로 분산할 방침이다. 현재는 정비구역의 기존 주택 수가 2000가구를 초과하거나 자치구 주택재고의 1%를 초과할 경우에만 심의를 통해 이주시기를 조정할 수 있다.
시는 또 재건축 사업 시행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경기도로 이주할 경우 해당 기간을 청약저축 거주기간으로 인정해 줄 것을 정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서울시, 재건축 이주시기 조정·분산키로
입력 2014-09-25 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