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이 차기 전당대회에서 모바일투표 도입 문제라는 ‘벌집’을 건드리면서 비대위원 사이에 연일 험악한 분위기가 연출되고 있다. 문 위원장의 우호적인 모바일투표 발언을 계기로 비노(비노무현)계·비주류가 ‘쌍문(문재인·문희상)동 체제’에 반발하면서 대반격에 나선 모양새다.
정세균 비대위원은 24일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2차 회의에서 “비대위가 전당대회 룰을 만들려고 하거나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서는 적절치 않다”며 “선비는 오얏나무 아래에서 갓끈을 매지 말아야 한다는 ‘이하부정관(李下不整冠)’의 마음으로 비대위원 모두가 발언에 신중을 기할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문 위원장의 모바일투표 우호 발언에 즉각 반기를 든 박지원 비대위원은 이날도 트위터를 통해 “문 비대위원장이 모바일투표 발언은 와전되었고 오해 없길 바란다고도 했다”며 “(모바일투표는) 오픈 프라이머리·전자정당 등과는 전혀 관계가 없고, 대법원 최종판결에서도 위법이란 판례도 있다”고 밝혔다. 차기 전당대회에서의 모바일투표 도입 불가를 못 박은 것이다. ‘쌍문동 연대’설에 당권 경쟁자인 정·박 위원이 일시적 연합전선을 구축한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비노·중도파 의원들은 ‘당직은 당원에게, 공직은 국민에게’라는 원칙 아래 당직선거는 당원 의사에 따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천정배 전 의원은 KBS라디오에 나와 “먼저 당원들에게 선거권을 준 다음에 일반 국민의 참여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라며 “개인 견해로 당직 선거권은 당원만이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동안 모바일투표 도입을 주장해온 친노(친노무현)계는 미묘하게 입장이 달랐다. 문재인 비대위원은 기자들과 만나 “지금은 모바일투표를 갖고 논란할 필요가 없는 상황”이라면서도 “다음 전대 때 다시 국민 참여경선이나 시민 참여경선을 하기로 할 경우에 그 방법의 하나로 논의될 수 있는 것”이라고 여지를 남겼다. 강경파로 분류되는 정청래 의원도 트위터에 “새정치연합은 모바일투표 말만 나오면 격렬 반대. 모바일을 손에 떼지 않고 사는 세상에 모바일 국민과 담을 쌓겠다?”라는 글을 남겼다. 친노 진영에서는 일부 비대위원들이 초반부터 모바일투표 논란을 부풀려서 전당대회 룰 샅바싸움을 하려는 의도가 있다는 불만도 나온다.
논란이 커지자 문 위원장은 언론 인터뷰에서 “특정 계파에 유리할 수 있다고 하면 (모바일투표를) 채택할 수 없다”며 부랴부랴 진화에 나섰다. 하지만 모바일투표는 차기 당권 경쟁의 핵심 변수이기 때문에 다시 불이 붙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새정치연합에서 모바일투표는 친노와 비노 간 끝없는 분란의 불씨였다. 당은 계파별 유불리에 따라 모바일투표 도입에 대해 오락가락 입장을 바꿨다. 모바일투표가 도입된 2012년 전당대회와 대선 경선 때는 문재인 위원 등 친노 후보들이 이긴 반면, 이를 폐지한 2013년 전당대회 때는 비노 후보인 김한길 전 대표가 승리했다.
비대위 인적 구성 논란도 꺼지지 않고 있다. 이날 비대위는 범친노로 분류되는 원혜영 의원을 혁신실천위원장으로 임명했다. 중도파와 원외 인사들의 반발은 더 커질 전망이다. 중도파로 구성된 민집모(민주당 집권을 위한 모임)가 매주 정기모임을 갖고 있는 데다 중도 성향의 안철수 의원도 연일 정치 현안에 대해 발언하면서 조만간 당내 역학 구도가 출렁거릴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
‘雙文연대설’에 새정치연합 비노·비주류 결집 움직임
입력 2014-09-25 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