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장애인 200만명 이상… 복지시설 지원을

입력 2014-09-25 03:40
신영순 민족장애인원아협력사무소 소장이 23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공학원에서 열린 ‘통일세대를 위한 북한 장애인 제도 및 정책 포럼’에서 북한 장애인 종합회복센터 설립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푸른나무 제공

“북한 장애인을 위한 종합회복센터 설립에 정부도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신영순 민족장애인원아협력사무소 소장은 23일 오후 대북지원단체 ㈔푸른나무가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공학원에서 개최한 ‘통일세대를 위한 북한 장애인 제도 및 정책 포럼’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신 소장은 1998년부터 100차례 넘게 방북해 북한 장애인 지원 활동을 전개해왔다.

신 소장은 “북한 장애인 인구는 200만명이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장애인이 이렇게 많은 이유는 탄광 등지에서 사고를 당하거나 질병을 앓아도 제때 치료받지 못한 사람이 많기 때문”이라며 “남북이 장애인 복지의 ‘기초’를 구축해 놓아야 통일 이후의 혼란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신 소장은 “북한의 장애인들을 돕는 것은 북한 사회에 많은 변화를 야기할 것”이라며 “종합회복센터는 장애인 분야 남북 협력의 시범 현장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신 소장이 정부 지원을 촉구한 종합회복센터는 푸른나무가 평양에 건설을 추진 중인 ‘대동강장애인종합회복원’을 가리킨다. 대동강장애인종합회복원은 연건평 1만1976㎡(약 3629평) 부지에 지상 4층 지하 2층 규모로 지어진다. 푸른나무는 지난 6월 북한 조선장애자보호련맹과 대동강장애인종합회복원 설립에 합의했다. 이 시설엔 재활치료실 점자·수화교육실 직업훈련실 등이 들어선다.

신 소장은 “장애인 지원은 그 어떤 분야보다 적은 돈으로 많은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분야”라고 주장했다. 그는 “북한 장애인 지원은 북한 인권 문제 개선에서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우리 정부의 지원은 민족화해에 기여하는 인도주의 사업”이라고 말했다. 푸른나무는 현재 건축비용 모금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신 소장은 곽수광 목사와 함께 이 단체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포럼에서는 대동강장애인종합회복원의 설립 현황을 점검하고 바람직한 운영 방안을 살펴보는 순서도 마련됐다. 이준우 강남대 사회복지전문대학원 교수는 “회복원 설립에 이어 북한 장애인 실태조사, 평양 이외 지역에 회복원 추가 설립 등의 활동도 진행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교수는 “회복원은 단순한 장애인 복지관이 아니라 북한 전역의 장애인 복지 서비스를 연결하는 거점센터 역할을 해야 한다”며 “이 시설은 남북한간 지속가능한 장애인 복지 협력모델의 상징이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지훈 기자 lucidfal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