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 납치 문제 국제사회 일치된 메시지 필요”… 日, 유엔서 전방위 北 압박

입력 2014-09-25 03:58
일본인 납치 문제 해결을 위한 북·일 간 협의가 교착 상태인 가운데 일본이 유엔총회를 이용해 북한을 압박하고 나섰다.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이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북한인권 고위급회의에서 일본인 납치 문제를 적극적으로 부각했다고 일본 언론들이 24일 보도했다. 회의에서 기시다 외무상은 “북한에 의한 납치는 중대한 인권 침해이며 피해자 자신이나 남은 가족에게 몇 십년에 걸쳐 견디기 어려운 괴로움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은 납치 문제 해결을 가장 중요한 과제의 하나로 인식하고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국제사회의 일치된 메시지가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기시다 외무상은 이후 뉴욕시내에서 이뤄진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과의 회담에서도 납치 문제를 거론했다. 그는 북한과의 교섭 상황을 설명하고 일본 정부가 납치, 핵, 미사일 등을 포괄적으로 해결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유엔총회 참석차 뉴욕을 방문 중인 아베 총리도 북한 압박에 동참했다. 산케이신문은 아베 총리가 차히야 엘벡도르지 몽골 대통령과 회담을 갖고 납치 문제 해결을 위한 몽골의 협력을 당부했다고 보도했다. 엘벡도르지 대통령은 북한과 일본의 회담 장소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협력하겠다고 답했다.

이처럼 일본이 유엔에서 일본인 납치를 거론한 것은 이를 일본만의 문제가 아닌 국제적 이슈로 부각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국제사회가 납치 문제를 북한 인권이나 핵과 마찬가지로 시급히 해결해야 할 현안으로 인식하게 함으로써 북한을 압박하겠다는 의도다. 동시에 북한과 일본의 합의가 북핵 등을 둘러싼 한·미·일 3각 공조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미국의 우려를 잠재우기 위한 계산도 깔려 있다.

북한과 일본은 5월 말 일본인 납치 문제의 전면 재조사에 합의했지만 보고 내용 등에 관한 이견으로 이달 중순 예정됐던 북측의 첫 보고조차 이뤄지지 않았다. 유엔총회에 이수용 북한 외무상이 참가하면서 기시다 외무상과의 회담이 이뤄질지 관심을 모으고 있지만 양측은 일단 접촉 가능성을 부인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