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임금 상승률이 0%대로 떨어졌다.
24일 한국은행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실질임금은 월평균 277만2643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76만7830원)보다 0.2%(4813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증가율이 마이너스로 돌아선 2011년 4분기(-2.4%) 이후 2년 6개월 만에 최저치다.
실질임금 상승률은 명목임금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분을 뺀 것으로 근로자의 실질적인 구매력을 나타낸다. 실질임금이 거의 오르지 않는다는 것은 가계의 주 소득원이 정체돼 있음을 뜻하고, 이는 내수 부진을 고착화시킨다.
실질임금 상승률은 지난해 2분기 3.4%에서 3분기 2.5%, 4분기 2.1%, 올해 1분기 1.8%, 2분기 0.2%로 계속 추락하고 있다. 이런 추세라면 3분기에 마이너스로 돌아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기업들이 성과급·상여금 등 특별급여 인상 폭을 크게 줄인 것이 실질임금 상승률 둔화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2분기 실질임금 기준 특별급여는 월평균 33만190원으로 1년 전(36만9564원)에 비해 10.7% 줄었다. 임금 수준이 낮은 시간제·비정규직 일자리가 늘어나는 식으로 노동시장 구조가 바뀌는 것도 실질임금을 떨어뜨리는 요인이다. 이런 상황에선 고용이 늘어도 소비 증가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
임시직 근로자의 2분기 실질임금은 월평균 125만3769원으로 전년 동기(127만2085원)보다 오히려 1.4% 줄었다. 임시직 근로자 실질임금 상승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2010년 4분기(-7.3%) 이후 3년 6개월 만이다.
천지우 기자 mogul@kmib.co.kr
실질임금 상승률 ‘0.2%’
입력 2014-09-25 0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