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2018학년도부터 고교에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을 공통과목으로 도입하는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을 24일 발표했다. 새 교육과정이 시행되면 현재 초등학교 6학년이 고등학생이 되는 2018학년도부터 고교에서 문·이과 계열 구분 없이 1학년 때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 한국사를 공통과목으로 배우게 된다. 이번 개편의 취지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이다. 문과생이 과학을, 이과생이 사회를 공부하지 않는 현행 ‘문·이과 칸막이’를 없애자는 것이다.
문·이과 구분은 중국 대만 일본 등에서만 실시하고 있는 교육 방식으로 일제 강점기를 거치며 국내에 자리 잡은 후 거의 100년째 유지돼 왔다. 문·이과라는 장벽 때문에 우리 사회는 글로벌 지식인이 갖춰야 할 융합적 사고의 중요성이 외면 받았다. 지난해 말 서울대 의대를 문과생도 응시할 수 있도록 했다가 한 달여 만에 취소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특정 고교 출신에게 특혜를 줄 수 있다는 것이 외형적인 이유였지만 이면에는 뿌리 깊은 특권의식이 깔려 있었다. 이과형 수학과 물리 화학 등 과학 과목을 고교시절에 이수하지 않은 문과 출신 학생들에게 의사자격증을 줘서는 안 된다는 이과 출신 기득권자들의 입김이 작용했기 때문이다. 어느 학문을 막론하고 단독으로는 성과를 낼 수 없기에 인문학과 사회·자연과학의 통섭은 필수적이다.
이런 점에서 이번 문·이과 통합 교육은 옳은 방향이다. 교육의 근간을 바꾸는 이번 개편이 실효성을 거두려면 대학수학능력시험 체제와 대입 선발 방식, 대학 교육 과정도 함께 개편하는 작업이 뒤따라야 한다. 교육부가 고교교육이 대입 제도에 좌우되는 현실에서 문·이과 통합만 발표하고 수능시험 개편 방향을 밝히지 않는 것은 아쉽다. ‘반쪽짜리’ 교육과정 개편안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또 대학에서 이공계와 인문사회계를 구분해 학생들을 선발하는 현재의 방식이 바뀌지 않는 한 이번 교육과정 개정은 의미가 없다. 어느 한 가지만 바꿔서는 해결되기는커녕 도리어 교육 현장에 엄청난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을 관계 당국은 명심해야 한다.
[사설] 문·이과 통합에 걸맞게 수능방식도 바꿔라
입력 2014-09-25 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