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삐라 살포 주모자 비싼 대가 치를 것”… 北 연일 위협수위 높여

입력 2014-09-24 03:23
대북전단(삐라) 문제로 남북 간 불신의 골이 더욱 깊어지는 양상이다. 북한은 전단 살포를 문제 삼아 정부의 남북 고위급 접촉 제의를 사실상 거부한 데 이어 대북 인도적 지원도 받지 않으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것으로 전해졌다. 남북관계 개선 계기를 찾기가 당분간 힘들 거란 관측이 나온다.

정부는 23일 “전단 살포 문제를 포함해 모든 현안을 대화로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이라며 “북한도 할 말이 있으면 일방적인 성명이나 담화를 내기보다 대화의 장에 나와 제기해야 한다”고 밝혔다.

북한 대남 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는 전날 대변인 담화에서 “(탈북자 단체의) 전단 살포는 남한 당국의 비호 아래 이뤄졌다. 괴뢰 당국은 더 이상 대화요, 신뢰요 하는 말을 입에 올릴 수 없게 됐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며 당국 간 대화 거부 입장을 시사했다. 이어 “삐라살포 놀음을 강행한 주모자, 가담자들은 단호한 보복조치로 비싼 대가를 치르게 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담화는 13일에 이어 두 번째로, 위협 수위가 한층 높아졌다. 일각에선 국민의 신변안전을 우선해 물리력을 동원해서라도 전단 살포를 자제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하지만 정부 당국자는 “민간단체의 대북 전단 살포는 관련 법적 근거나 명확한 규정이 없어 제한하기 어렵다는 게 정부 입장”이라고 했다.

대북지원 사업에까지 불똥이 튀는 모습이다. 박근혜 대통령의 드레스덴 구상에 따라 정부가 4년 만에 대북지원 민간단체에 남북협력기금을 지원키로 했지만 민간단체들에 따르면 북한은 ‘남쪽에서 주는 돈 받지 않겠다는 식’으로 시큰둥해 진전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가운데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지난 4일 모란봉악단 음악회 관람을 끝으로 이날까지 19일째 ‘두문불출’하고 있어 건강이상설이 나돌고 있다. 7월에는 오른쪽 다리를, 8월 말엔 왼쪽 다리를 저는 모습이 북한 매체에 공개된 바 있다. 정부 당국자는 “재작년은 23일, 작년엔 17일간 공개석상에 나오지 않은 사례가 있다”며 “25일 최고인민회의 참석 여부를 보면 건강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