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금연예산 13배 늘어난 1521억원… 청소년 흡연 예방 교육에 최다 투입

입력 2014-09-23 03:48
보건복지부는 올해(113억원)보다 13배 늘어나는 내년 금연사업 예산 1521억원을 청소년 흡연예방교육, 군인·대학생·여성 맞춤형 금연 지원, 장기 흡연자 금연캠프 등에 사용키로 했다고 22일 밝혔다. 청소년 흡연예방교육에 가장 많은 돈이 투입되는데 실효성을 위해 교육 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복지부는 청소년 흡연예방사업에 올해보다 20배 이상 늘어난 519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현재 1236개교에서 실시하는 흡연예방교육이 전국 모든 초·중·고교로 확대되고 청소년쉼터 등을 통해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해서도 금연 지도에 나서기로 했다.

군인·여성·대학생 등 흡연자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금연지원 서비스에는 모두 490억원을 지원한다. 현재 흡연 장병의 15%에게 제공되는 금연 지원은 전체 흡연 장병(36만명)으로 확대된다. 5년 이상 장기 흡연자를 위해 120억원을 투입해 단기 금연캠프도 개설된다.

의료급여 대상자 145만명과 차상위계층 340만명 등 저소득층 500만명에게는 금연치료비 전액(12주 기준 35만3000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내년부터 금연치료에 건강보험을 적용하는 데 소요되는 예산 4994억원을 포함할 경우 담뱃값 2000원 인상에 따른 증가 예산 7159억원의 89.3%가 흡연자 지원과 금연사업에 투입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천편일률적 금연교육에 예산만 늘려서는 큰 효과가 없다고 지적한다. 이화여대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전종설 교수는 ‘학교기반 청소년 금연프로그램 효과성 제고 방안’이란 논문에서 30명 이상을 대상으로 하는 금연교육은 ‘강의’로 변질돼 학생들이 지루해하고 보통 방과 후에 실시돼 참여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전 교수는 “청소년에게 흡연의 폐해를 열거하는 건 별 효과가 없다”며 “또래 집단에서 멋져 보이고 싶은 심리를 이해하고 그에 맞춰 교육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담배를 피우면 폐암에 걸린다’는 으름장보다 ‘담배를 피우면 피부가 나빠져 외모에 영향을 준다’는 식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