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박경린] 선택과 집중 필요한 전기차 산업

입력 2014-09-23 03:27

전기차 시대가 열리고 있다. 작년 미국에서는 테슬라의 전기차 모델S가 기존의 빅3가 주도하던 자동차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켰고, 프랑스에서는 오토리브라는 전기차 셰어링 서비스가 파리시민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중국은 2020년 전기차 500만대 보급이라는 야심 찬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해외 성공 사례들의 공통점은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이 있었다는 점이다.

주요 선진국들이 전기차산업 육성에 나서고 있는 이유는 명확하다. 첫 번째는 전기차는 배기가스가 없는 친환경차로서 충전에 사용되는 전력을 풍력, 태양광 같은 신재생에너지와 연계할 경우 탄소 배출이 없는 운송수단이라는 점이고 두 번째는 석유자원 고갈에 대비해 석유에 대한 의존도를 낮춰야 하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전기차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이 유사시에 전력계통으로 역전송되어 사용되는 분산전원의 역할을 하는 등 여러 가지 이점이 있다.

2013년 세계 자동차 시장 점유율을 보면 1위에서 8위까지 미국의 3개 기업, 일본의 3개 기업, 독일의 2개 기업이 차지하고 있다. 한국의 현대·기아차가 9위, 중국의 상하이자동차가 10위에 위치하고 있다.

미래의 전기차 시장은 어느 나라의 어떤 기업이 주도하게 될까? 그 해답은 현재 우리가 어떤 계획을 세워 추진하고 있느냐에 달려 있다.

전기차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가 정책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첫 번째 과제는 충전 인프라 확충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지난 7월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전기차 서비스 및 유료충전 사업은 매우 시의적절한 사업이다. 발표 내용의 핵심은 제주도와 서울시를 중심으로 약 5500기의 충전기 설치를 지원해 전기차 사용자에게 현재의 주유소처럼 유료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제주도의 경우 187㎞에 달하는 일주도로를 포함하여 제주시와 서귀포시를 잇는 4개의 도로 등 약 350㎞ 길이의 도로 10㎞마다 급속충전기를 설치한다면 제주도는 주요 도로의 어느 위치에서든 10㎞ 이내에서 급속충전이 가능한 ‘전기차 섬’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35곳에 급속충전기를 설치함으로써 전기택시나 전기차 렌터카 사업을 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된다는 점에서 아주 효과적인 선택이라고 할 수 있다.

덧붙여 충전 인프라들을 활용하는 전기택시, 전기렌터카, 셰어링 전기차 등의 서비스 시범사업들을 패키지로 시행하면 충전 인프라 유료 서비스 사업은 물론 관련 전후방 산업 육성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일부 기업들이 서울에서, 제주에서, 그리고 그 외 지역에서 산발적으로 그리고 소규모로 이러한 사업들을 계획하고 시범적으로 시행하고 있는데 지금까지는 테스트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아직은 충전 인프라가 부족하고, 사업을 위해 축적된 데이터가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해 11월 4일 에너지신산업 토론회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연구·개발의 결과물들이 시장에 바로 진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제품과 서비스들이 테스트될 수 있는 시범사업들이 필요하다고 밝힌 것은 핵심을 찌른 지적이라고 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시범사업들이 시행된다면 지역적으로도 선택과 집중을 할 필요가 있다. 전기택시, 전기렌터카, 셰어링 전기차도 모두 충전기가 필요한데 지역적으로 분산해서 시행하면 그 사업에 필요한 충전기 구축 비용이 몇 배가 소요되는데 반해 집중해서 시행하면 구축하는 충전기들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어 결국 사업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충전기 유료 서비스 사업과 향후 그 충전기들을 활용하는 시범사업들이 체계적으로 추진되어 우리나라가 미래의 전기차 시장에 우뚝 서는 모습을 기대해 본다.

박경린 제주대 전산통계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