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도내 31개 시·군의 사회적경제조직 제품 구매비율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경제활성화경기네트워크는 지난 7월 경기도와 시·군에 정보공개를 청구해 2012∼2013년 사회경제적조직(사회적기업·협동조합·마을기업·자활기업) 제품 구매실적을 조사한 결과, 2013년 사회적경제조직에서 물품구매 및 용역 계약한 금액은 474억2600만원으로 2012년 398억9900만원보다 18.9% 증가했다고 21일 밝혔다.
그러나 지난해 도와 31개 시·군이 구매한 물품 및 용역계약 총액 8782억9300만원에 비하면 사회적경제조직에서 구매한 금액은 5.4%에 불과한 수치다.
지난해 시·군별 구매비율을 살펴보면 성남시가 46.3%로 가장 높았다. 이어 포천시 12.3%, 오산시 11.7%, 남양주시 10.2%, 부천시 9.6% 등 순이다. 경기도(2.4%)를 비롯해 평택(2.1%), 화성(1.7%), 수원(1.2%), 고양(0.7%), 안성(0.2%), 하남(0.1%) 등 22개 지자체의 사회적경제조직 제품 구매비율은 3%에도 못 미친다. 지난해 사회적기업 구매액은 472억3000만원(99.6%)인 반면 협동조합·마을기업·자활기업 구매액은 1억8000만원(0.4%)에 그쳤다.
이처럼 협동조합·마을기업·자활기업 제품 구매율이 낮은 것은 사회적기업 제품처럼 우선 구매하도록 한 법 규정이 없기 때문이라고 사회적경제활성화경기네트워크는 설명했다. 박은호 사무국장은 “정부가 사회적경제기본법 제정을 추진하는 만큼 지자체도 관련 조례를 정비해 공동구매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협동조합·마을기업 키운다더니 경기 지자체, 구매율 5%에 불과
입력 2014-09-22 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