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말 납치자 문제 재조사에 전격 합의한 북한과 일본의 관계가 다시 삐걱거리고 있다. 교도통신은 북한이 최근 일본과의 물밑 접촉에서 일본 정부가 요구한 납치 피해자 12명에 관한 새로운 정보를 첫 조사결과 보고 때 제공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21일 보도했다.
그동안 일본 정부가 공식 확인한 납치 피해자는 17명이다. 이 중 5명은 2002년 귀환했다. 나머지 12명의 생사 여부를 두고 북한과 일본의 줄다리기가 계속돼 왔다. 그동안 북한은 요코타 메구미 등 8명은 이미 사망했고 4명은 북한에 입국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대신 확증은 없으나 북한에 납치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특정 실종자’, 전쟁 후 일본으로 돌아가지 않고 북한에 남은 잔류 일본인, 재일 조선인 남편을 따라 북한에 간 일본인 배우자에 관한 정보를 보고 내용에 포함하겠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일본은 12명에 관한 새 정보가 없는 한 보고를 받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이들에 대한 사실 규명을 납치문제 해결의 출발점이라고 여기고 있기 때문이다.
첫 보고의 시기도 문제다. 일본은 이르면 9월 둘째 주에 보고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으나 계속 늦춰지고 있다. 북한은 지난 18일 “1년을 목표로 조사 중이고 현재는 초기 단계라는 것 이상의 설명을 할 수 없다”고 일본 정부에 통보했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지난 19일 기자회견에서 “납치된 분들을 북한이 장악하고 있다”며 불쾌감을 표시했다. 다만 “이미 해제한 일부 대북 제재를 원점으로 돌리는 것은 아직 생각하고 있지 않다”고 했다. 일본 정부는 자체 조사단의 방북을 추진하는 등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北·日 ‘납치자 문제’ 다시 삐걱… 12명 근황 정보제공 갈등
입력 2014-09-22 0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