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 학생 10만명 시대가 코앞으로 다가왔다. 지난 4월 1일 기준으로 전국 초·중·고교에 다니는 다문화가정 학생이 6만7800여명에 달했다고 교육부가 밝혔다. 처음으로 전체 학생 수의 1%를 넘어선 것이다. 1년 전에 비해 1만2000여명(21.6%) 증가했다. 외국인 주민의 미취학 자녀 현황에 비춰보면 앞으로 3년 이내에 다문화가정 학생이 10만명을 돌파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다문화가정 학생 수는 이에 대한 조사를 처음 시작한 2006년 9389명에서 매년 6000∼8000명씩 늘어났다. 그 결과 8년 만에 7배로 증가했다. 특히 출산율 감소로 전체 학생은 매년 20여만명 줄어들지만 다문화가정 학생은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이제 다문화가정 자녀는 학교뿐 아니라 군대에서도 볼 수 있게 됐다. 지난 추석 때는 성묫길에서도 어렵지 않게 다문화가정을 볼 수 있었다. 이처럼 다문화가정과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학교와 사회의 배려는 여전히 부족하다. 그들이 이 사회의 구성원으로 당당하게 살아갈 수 없다면 결국 우리 모두의 부담으로 남게 된다는 점을 깨달아야 한다.
무엇보다 다문화가정을 위한 대책은 학교 교육에서부터 시작돼야 한다. 초·중·고 교과서에는 외국인에 대한 편견을 드러내는 내용이 아직도 포함돼 있다. 사회, 도덕, 국어 교과서에 실린 해외 동화는 대부분 서유럽 작가의 작품들이다. 더욱이 ‘다문화가정 대다수가 경제적 빈곤층에 속하며∼’라고 기술한 교과서도 있다. 사실과 다르진 않지만 그 원인이나 배경설명 없이 이렇게 표현하면 이주민에 대한 편견을 부추길 수 있다는 지적이다.
다문화가정 학생들을 위한 방과후 교육 등을 위해 선생님이 “다문화(학생) 남아”라고 말해 상처를 받았다는 사례도 있었다. 다문화가정이나 다문화가정 학생이라는 말은 정책적 용어로 제삼자를 지칭할 때 쓰는 것이지 직접 앞에 있는 사람에게 사용하는 말은 아니다. 한 초등학교에서는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교내 아침방송을 진행하도록 해 큰 호응을 얻기도 했다. 그들은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에 대해 자부심을 느끼는 것은 물론 또래와의 공동체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는 자신감을 가졌을 것이다.
앞으로는 다문화가정 학생들에 대한 지원을 출신 국가별 맞춤형으로 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국가 출신 학생들을 동일한 집단으로 여겨 똑같은 프로그램으로 접근하는 것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중앙정부뿐 아니라 각 지역 교육기관이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나아가 교육기관 외에 지방자치단체가 다문화가정 부부 상담이나 법률 상담 등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들 가정이 화목할 때 곧 자녀들에 대한 교육도 바로 설 것이기 때문이다.
[사설] 3년내 다문화가정 학생 10만명 돌파한다는데
입력 2014-09-22 0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