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과 모리 요시로 전 일본 총리의 19일 청와대 회동이 한·일 관계를 정상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아베 신조 총리가 지한파 원로인 모리 전 총리를 통해 양국 정상회담을 희망하는 내용의 친서를 보내왔기 때문이다. 아베 총리가 정상회담의 기회로 언급한 ‘올 가을 국제회의’는 10월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리는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와 11월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이 정상회담의 전제조건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과거사에 대한 일본의 성의 있는 조치를 요구했지만 예전에 비해 분위기가 한결 부드러워진 느낌이다. 청와대가 친서 내용을 언론에 공개한 것은 박 대통령과 우리 정부가 아베 총리의 제의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다행스러운 일이다. 국교정상화 50주년을 불과 1년 앞둔 양국은 당연히 선린우호 관계 회복을 위해 공동 노력해야 한다. 우리 입장에서 보면 급변하는 동북아 정세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통적 우방인 일본과 화해·협력을 꾀하는 것이 백번 옳다.
박 대통령이 언급한 대로 일본은 이번 기회에 과거사 문제에 대한 진정성 있는 자세를 취해야 할 것이다. 현재 진행 중인 외교국장급 회의와 내주 유엔총회 기간 중 열릴 가능성이 있는 양국 외교장관회담의 결과가 기대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지속적으로 우경화 행보를 보이고 있는 아베 총리의 자세 변화다. 박 대통령이 일본 측과 손을 맞잡고 싶어도 아베 총리에 대해 악화된 국내 여론 때문에 쉽지 않다는 점을 명심해야겠다.
한·일 관계 정상화를 위해서는 우리도 좀 더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박 대통령이 24일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위안부 문제를 언급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다중외교 현장에서 일본을 지나치게 폄하하는 발언은 바람직하지 않다. 해빙 무드로 돌아서려는 양국 관계에 자칫 찬물을 끼얹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국민감정 못지않게 국익이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해야겠다.
한·일 외교관계 정상화 조짐 보인다
입력 2014-09-20 04:12 수정 2014-09-20 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