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19일 박근혜 대통령에게 간접 전달한 친서에서 연내 다자정상회의에서의 한·일 정상회담 개최를 정식 제안했다.
아베 총리는 청와대를 방문한 모리 요시로(森喜朗) 전 일본 총리를 통해 “오는 가을에 개최되는 국제회의에서 박 대통령을 만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는 친서에서 “(한·일 양국 간) 과제가 있기에 대화를 거듭해 내년이 한·일 양국에 좋은 해가 되도록 상호 관계개선을 위해 노력해 갔으면 한다”며 이같이 전했다. 박 대통령은 모리 전 총리로부터 ‘대한민국 박근혜 대통령 귀하, 내각 총리대신 관저’라고 적힌 아베 총리의 친서와 선물을 전달받았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가을에 개최되는 국제회의는 10월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리는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 11월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등이 있다. 일본 언론들은 이날 APEC 정상회의에서 한·일 정상회담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박 대통령은 “과거 한·일 정상회담을 개최한 뒤 양국 관계가 잘 풀리기보다 오히려 후퇴하는 상황도 있었음을 교훈으로 삼아 사전에 잘 준비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과거사 상처를 치유하기 위한 진정성 있는 노력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며 “특히 55분밖에 남아 있지 않은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이 생존해 계신 동안 명예를 회복시켜드려야 한다”고 밝혀 위안부 문제 해결에 대한 일본 정부의 성의 있는 대응을 거듭 촉구했다.
한·일 관계 정상화에 대한 박 대통령의 구상은 명확하다. 두 나라 관계는 안정적으로 발전돼야 하지만 위안부 문제 등 과거사 문제는 일본이 먼저 주도적으로 풀어야 한다는 것이다. 위안부 문제 해결에 앞서 한·일 정상회담이 이뤄지긴 어렵다는 취지이기도 하다. 박 대통령은 최근 외신 인터뷰에서도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이분들에게 사과하고 또 명예를 온전히 회복할 수 있도록 일본 정치 지도자들이 용기 있는 결단을 내리기 바란다”고 밝힌 바 있다.
내년은 한·일 수교 50주년을 맞는 해다. 그런 만큼 양국 관계 개선 필요성은 한·일 두 정상이 모두 공감하고 있다. 따라서 위안부 문제의 완전한 해결에 앞서 어느 정도 실질적인 진전이 이뤄진다면 회담이 전격 성사될 개연성도 배제할 순 없다. 일각에선 두 정상이 23일(현지시간)부터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총회에서 조우해 간단한 인사 정도는 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아베 “가을 국제회의서 朴대통령 만나길 기대”
입력 2014-09-20 04:33 수정 2014-09-20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