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한전부지 새주인] 초고층 신사옥·한국판 ‘아우토슈타트’ 계획

입력 2014-09-19 04:11

현대자동차그룹은 서울 영동대로(삼성동) 한전 부지에 이른바 ‘글로벌비즈니센터(GBC)’ 조성 계획을 이미 세워 놨다. 계열사 30여곳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초고층 통합사옥과 독일의 ‘아우토슈타트’와 같은 자동차 복합문화공간 등을 짓는다는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한전 부지 매각이 본격화된 시점부터 통합사옥 건립 청사진을 그려왔다. 통합사옥은 100층 이상의 초고층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사옥을 짓는 데 약 8년이 걸려 2022년 전후 준공이 예상된다. 그룹 측은 18일 “한전 부지 인수는 글로벌 경영 차원에서 30여개 계열사가 입주해 영구적으로 사용할 통합사옥 건립을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차 계열사는 서울에만 30곳이 있고 근무하는 임직원도 1만8000여명에 이르지만 현재 서초구 헌릉로 본사 사옥에선 약 5000명만 일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이 준비한 청사진의 또 다른 축은 자동차 테마파크다. 차량 출고센터와 박물관 전시장 체험장 등이 모여 있는 공간이다. 이를 통해 자동차 브랜드로서의 가치를 높이고 외국인 관광객까지 유치하겠다는 것이다. 벤치마킹 대상은 독일 볼프스부르크시의 아우토슈타트다. 폭스바겐의 출고센터와 전시장 박물관 등이 있는 곳으로 매년 20만명의 외국인을 포함해 250만명이 이곳을 찾는다.

현대차그룹은 최고급 호텔과 대규모 국제회의가 가능한 컨벤션센터, 한류체험 공간 등도 부지에 지을 생각이다. 그룹 관계자는 “인프라 부족으로 해외에서 벌여온 각종 행사를 국내에서 개최하면 2020년 기준 연간 10만명 이상 해외 인사를 국내로 초청할 수 있다”며 “1조3000억원을 웃도는 자금이 국내로 들어올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한전 부지 개발에는 서울시도 나름의 계획을 갖고 있어 100% 현대차그룹의 구상대로 진행될지는 지켜봐야 한다. 서울시는 한전 부지를 포함한 서울 동남권을 국제교류복합지구로 조성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현재 제3종일반주거지역인 한전 부지 용도를 일반상업지역으로 변경해 용적률을 800%까지 상향시켜주고 땅값의 40%에 해당하는 토지나 시설, 시설설치 비용을 공공기여로 받겠다는 입장을 이미 밝혔다. 공공기여 액수는 부지 감정가 3조3346억원을 기준으로 하면 약 1조3000억원이다. 하지만 서울시가 새로 감정평가를 진행할 예정이어서 공공기여 규모가 달라질 가능성도 있다. 서울시는 한전 부지 매각으로 취득세 지방교육세 등 약 4000억원의 세수를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