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선 돌아왔지만… 상처뿐인 새정치

입력 2014-09-18 05:38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 겸 원내대표가 17일 탈당 의사를 철회하고 당무에 복귀했다. 비대위원장은 중진·원로회의 등을 통해 후임을 선출한 뒤 사퇴하기로 했다. 강경파가 요구한 원내대표 사퇴에 관해서는 직접적인 언급을 피했으나 세월호 특별법 처리를 위해 당분간 직을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이로써 지난 11일 이상돈 중앙대 명예교수의 비대위원장 영입 파동으로 시작된 '박영선 탈당 파동'은 일단 봉합됐다. 그러나 박 위원장이 상처투성이로 복귀했고, 강경파는 여전히 원내대표로 인정할 수 없다는 기류여서 내홍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박 위원장은 국회 당대표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집권 가능한 정당, 국민이 공감하는 정당으로 바꿔 혁신해보고자 호소해봤지만 한계에 부닥치면서 엄청난 좌절감에 떨었다"며 "그러나 자신을 죽이고 당을 살리라는 원로 고문들의 간절한 요청에 이 자리에 섰다"고 밝혔다. 그는 "이런 상황에 내몰려 당을 떠나야 할지 모른다는 깊은 고민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라며 탈당 검토가 있었음을 인정했다.

박 위원장은 "중차대한 시기에 많은 심려를 끼쳐드려 당원과 동료 의원, 국민들께 진심으로 송구스럽다"고 사과했다. 비대위 구성과 관련해서는 전현직 당대표 및 원내대표, 상임고문단 회의를 통해 논의된 결과를 가지고 당의 총의를 모으겠다고 밝혔다. 중진·원로 그룹에서 후임을 추천하면 박 위원장이 당내 여론을 감안해 임명하는 형식이다. 새정치연합은 27명의 비대위원장 추천단을 즉각 구성했으며 18일 오후 2시 첫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전날 박근혜 대통령의 세월호 특별법 관련 발언에 대한 비판도 쏟아냈다. 박 위원장은 "박 대통령이 삼권분립 운운하며 세월호 특별법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모순적 통치행위를 했다"며 "대통령이 국회에 최후통첩을 하는 어처구니없는 사태는 결국 세월호 협상을 청와대가 뒤에서 주도했음을 스스로 밝힌 것"이라고 성토했다. 이어 "세월호 특별법 문제는 상황이 더 심각해졌다"며 "당 소속 의원들의 총의를 모아 마지막 혼신의 힘을 쏟겠다"고 강조했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