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틴 뎀프시 미국 합참의장이 급진 이슬람 수니파 무장세력 ‘이슬람국가(IS)’ 격퇴를 위해 필요시 미 지상군을 투입할 수도 있다고 언급해 논란이 일고 있다.
뎀프시 합참의장은 16일(현지시간)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IS 대응을 위해 미국이 시도하는 국제 군사연합 전선이 적절한 방법이고 그것이 진실로 입증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만약 (군사연합 전선을 통한 대응이 적절하다는 게) 입증되지 못하고 미국에 대한 위협이 있다면, 나는 물론 대통령에게 가서 지상군 투입이 포함될 수도 있는 제안을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어 제임스 인호프(공화·오클라호마) 의원이 ‘이라크에서 미군 조종사가 (공습 도중) 격추됐을 때 수색·구조 작전을 벌일 계획이 있으며, 그 작전을 성공시키기 위해 지상군을 투입할 준비가 돼 있느냐’고 묻자 “그렇다”고 답했다. 안보 분석가들은 이라크에 다시 미군 지상병력이 투입될 가능성을 연 것이라고 분석했다.
뎀프시 합참의장 발언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그동안 여러 차례 IS 대응 과정에 미군 지상병력을 투입하지 않겠다고 공언한 것과 배치된다.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 13일 주례연설에서도 “미국이 대규모 지상군을 보내는 것은 IS 같은 집단을 물리치는 좋은 방법이 아니고 미국의 이익에도 맞지 않으며 더 큰 극단주의만 불러 온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었다.
조시 어니스트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향후 대통령에게 전술적 제안을 해야 할 수도 있는 미래 상황에 대한 가상의 시나리오를 언급한 것”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지상군 투입 문제를 둘러싸고 불거진 이 같은 혼선은 오바마 대통령의 ‘절대 불가’ 입장에도 불구하고, IS를 섬멸하려면 결국 지상군을 투입할 수밖에 없지 않느냐는 현실론적 인식이 워싱턴 정가 안팎에 퍼져 있기 때문이다.
뎀프시 합참의장이 지상군 파병 제안의 전제조건으로 제시한 미국 주도의 국제 군사연합 전선과 이라크·시리아 자체 병력의 합동작전이 효과가 없을 경우, 미 지상군 투입 목소리는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이라크에는 외교공관 경비와 군 고문단 명목으로 1600여명의 미군이 파견돼 있다.
청문회에서 척 헤이글 국방장관은 “IS 조직원이 이라크-시리아 국경에 걸쳐 제멋대로 활동하고 있고 시리아에 도피처를 갖고 있기 때문에 우리의 행동이 이름뿐인 국경에 구애받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해 시리아 내 IS 목표물을 공습할 준비가 돼 있음을 시사했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美 합참의장 “지상군 투입 IS 격퇴할수도”
입력 2014-09-18 0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