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리는 제1 야당] ‘朴 탈당설’ 봉합 국면 전환되나… 후대 비대위장 임명 후 사퇴

입력 2014-09-17 05:02 수정 2014-09-17 07:39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의 '탈당설'과 칩거로 촉발된 새정치민주연합의 극심한 내홍이 봉합 국면으로 전환되고 있다. 새정치연합에서는 16일 박 위원장에게 새 비대위원장 추인권을 부여하고 '한시적 직위'를 유지하도록 하는 방안이 부상하고 있다. 박 위원장은 17일 거취와 관련한 입장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박 위원장을 제외한 원내대표단은 대책회의를 갖고 박 위원장의 탈당을 만류하는 한편 이번 사태의 출구전략을 내놨다. 당이 총의를 모아 후임 비대위원장을 추천하면 박 위원장이 임명하고, 후임 비대위원장이 비대위원을 구성하는 방안이다. 또 원내대표직은 세월호 특별법 관련 마지막 수습 노력을 한 뒤 결과와 관계없이 사퇴한다는 것이다.

원내대표단은 소속 의원들을 대상으로 2가지 문항에 대해 전수조사를 벌였다. 의견 수렴에 나선 한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대부분 의원들이 동의했다"며 "박 위원장에게 전수조사 결과를 전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강경파 한 초선 의원은 "사실과 다르다"며 "조사 결과를 발표하지 않으면서 다수라는 것을 어떻게 믿느냐"고 말해 논란의 소지를 남겼다. 다른 강경파 의원도 "탈당에는 반대하지만 원내대표직에서는 즉각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위원장도 탈당보다는 비대위원장·원내대표직 사퇴로 가닥을 잡는 분위기다. 박 위원장은 일부 의원들과 통화하며 후임 비대위원장 인선 등에 관해 의견을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박 위원장 측 관계자는 "비대위원장의 법적 권한 연속성을 위해 (당에서) 빨리 한 명을 추천해야 한다"며 "(박 위원장이 지명하지 않으면) 후임 비대위원장 자격에 대한 가처분 신청 등 법적 시비가 발생했을 때 당이 다시 소용돌이에 빠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후임 비대위원장으로는 문희상 의원과 이석현 국회부의장, 박병석 원혜영 유인태 의원 등이 거론된다.

친노(친노무현)계와 중진들은 '문희상 비대위원장·유인태 원내대표' 카드를, 정세균계는 '박병석 비대위원장·최재성 원내대표'를, 김한길 전 대표 등 중도파에서는 이 부의장을 비대위원장으로 각각 미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