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가리봉동 뉴타운 해제 도시재생사업 추진… 뉴타운 35곳 중 지구 전체 해제 두 번째

입력 2014-09-17 04:32 수정 2014-09-17 15:30

뉴타운 지구로 지정된 지 10년이 넘도록 방치돼 슬럼화된 서울 가리봉동 일대가 주민 주도의 도시재생사업으로 방향을 틀어 활로를 찾게 됐다.

서울시는 가리봉 균형발전촉진지구(뉴타운 지구)의 지구지정을 해제하고 이 일대에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16일 밝혔다.

1970년대 구로공단의 배후 주거지였던 가리봉 지구는 총면적 33만2929㎡로 2003년 11월 뉴타운 지구로 지정됐다. 2005년 5월에는 전면 철거해 디지털비즈니스센터로 개발한다는 계획안이 결정됐지만 주민갈등과 부동산 경기 침체 등을 겪으며 사업이 진척되지 않았다.

지난 2월에는 사업시행자인 LH가 사업 포기를 최종 통보했고, 이후 구로구가 주민의견을 수렴한 결과 토지 등 소유자 32.49%가 사업 추진 반대의사를 밝혔다. 30%이상이 반대하면 지구지정 해제가 가능하다.

시는 이에 지난 5월 구로구와 합동점검팀을 구성해 검토한 끝에 지구지정을 해제하고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서울 35개 뉴타운 지구 중 지구 전체를 해제하는 것은 창신·숭인지구에 이어 두 번째가 된다. 시는 주민공람과 심의를 거쳐 오는 11월 지구 지정 해제를 최종 고시할 계획이다. 이후 가리봉 지구는 이전 단계로 환원돼 건축제한이 사라지고 자유로운 재산권 행사가 가능해 진다.

시는 지구 지정이 해제되면 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가리봉동 인구의 30%가 중국 조선족 동포인 점을 고려해 ‘다문화가 어우러져 함께 살아가는 동네’를 조성할 생각이다.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현장소통마당을 연내에 설치하고 주민협의체를 구성해 도시재생의 밑그림을 그릴 계획이다.

중국동포시장과 연변거리는 시설 현대화 및 특성화를 통해 차이나타운처럼 명소로 거듭날 수 있게 지원하고, 주민과 중국동포가 어울릴 수 있는 다문화종합지원센터 건립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IT 관련 청년 창업 요충지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다. 지구 전체의 24%를 차지하는 벌집촌은 산업화시대 공단근로자들의 삶의 흔적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과 임대주택 등으로 개선할 계획이다. 도로와 작은 공원, 편의공간 등 기반시설도 정비하고 골목 가로등과 CCTV 등 치안시설도 확충할 방침이다.

진희선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가리봉동의 도시재생이 이뤄지면 디지털단지 배후 기능으로 옛 역할을 다시 찾고 지역경제도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