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충영 동반성장위원장 “中企적합업종 제도 권고보다 기업 간 자율합의 우선할 것”

입력 2014-09-17 03:20 수정 2014-09-17 07:39

안충영(사진) 동반성장위원장이 중소기업 적합업종 제도 권고보다 기업 간 자율 합의를 우선하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적합업종 재지정을 앞두고 제도 강화를 요구하는 중소기업계 입장과 상반된 것이어서 주목된다.

안 위원장은 16일 서울 영등포구 렉싱턴호텔에서 취임 첫 기자간담회를 열어 “대기업 쪽에는 상생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리고 중소기업은 자구노력을 통해 공통의 가치를 숙의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우리 역할”이라며 “(자율 합의가) 안 될 경우 마지막 권고로 가지만 최대한 자율 합의를 유도하는 방향으로 가려고 한다”고 밝혔다. 또 “대기업과 중소기업은 서로 시장을 뺏고 빼앗기는 이분법적 틀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정부의 ‘팔 비틀기’ 없이도 새로운 사업 생태계를 만들어 파이를 키울 수 있는 스토리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다만 안 위원장은 김치, 두부 등에 대한 대기업의 무분별한 시장 진출에는 반대했다. 그는 “대기업이 기술 심화를 해야 할 때 김치, 두부까지 넘보는 여유를 부려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동반성장지수 체계 손질 방침도 밝혔다. 지수 산정의 근거가 되는 중소기업 체감도 설문지를 현행 5개 업종에서 8개 업종으로 세분화하고 2차 협력사의 체감도 조사 반영 비율도 현행 10%에서 15%로 높인다.

안 위원장의 ‘자율 합의’ 발언은 77개 품목에 대한 적합업종 재지정 논의가 진행 중인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중소기업계 등의 반발이 예상된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안 위원장 취임을 앞두고 “적합업종 제도가 안정적으로 발전하도록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주문했었다. 최승재 소상공인연합회장은 “동반성장위 수장이 자율 합의를 강조한 것은 대기업에 날개를 달아준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반발했다.

동반성장위는 순대, 세탁비누 등 14개 업종에 대해 이달 말까지 재지정 협의를 진행한다. 합의가 안 될 경우 11월 말까지 기한을 연장할 예정이다. 김치 등 22개 품목과 레미콘 등 41개 품목은 이달 중 본격적인 협의를 추진한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