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에 사용자 정보 요청 급증… 미국 최다·한국 416건 요청

입력 2014-09-17 04:20 수정 2014-09-17 07:39
세계 최대 인터넷 기업 '구글'에 사용자 정보를 내놓으라는 각국 정부의 요청이 최근 5년 새 150%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글은 15일(현지시간) 발간한 '투명성 보고서'에서 "2009년 보고서 발간 이후 각국 정부의 사용자 정보 요청이 150% 늘었으며, 지난해 하반기에만 15% 증가했다"고 밝혔다. 구글은 2년마다 이 보고서를 펴내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구글은 지난해 하반기 6개월 동안 각국 정부에서 4만8000개 계정에 대해 총 3만1698건의 사용자 정보 제공 요청을 받았다. 미국의 비공개 법원인 해외정보감시법원(FISC)의 명령이나 연방수사국(FBI)이 발부한 '국가 안보 행정소환장'에 근거한 정보 제공 요청은 뺀 수치다.

이 중 미국 정부의 사용자 정보 요청이 1만2539건으로 가장 많았다. 재작년에 비해 19% 늘었다. 특히 5년 사이 미 정부의 정보 요청 증가율은 250%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났다. 독일 정부가 3338건을 요청해 2위였고 프랑스 정부가 3002건으로 뒤를 이었다. 인도(2794건)와 영국(1535건) 이탈리아(1108건) 싱가포르(186건)도 정보 제공 요청이 많았다. 한국 정부도 416건으로 집계됐으며 일본은 121건이었다. 구글은 각국 정부의 정보 요청 중 65%가량 해당 정보를 제공했다고 밝혔다.

구글은 방대한 정보를 미국 정부에 넘긴다는 의혹에 대응하기 위해 투명성 보고서 발간을 시작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페이스북 등 다른 인터넷 기업들도 사용자들을 안심시키기 위해 정부의 사용자 정보 제공 요청 명세를 더 상세히 공개하자는 입장이다.

백민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