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1950년 6·25전쟁 때 평양-원산 부근에서 북진을 멈췄으면 중국의 군사 개입을 막고 통일을 이뤘을 것이라고 헨리 키신저 전 미 국무장관이 주장했다.
키신저 전 장관은 최근 펴낸 저서 ‘세계질서(World Order)’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한국전쟁 평가를 실었다. 미군은 50년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을 실시한 뒤 38선을 넘어 북진을 시작해 10월 25일 압록강까지 진격하는 데 성공했으나 위기의식을 느낀 당시 중공군이 개입하면서 전세가 바뀌었다.
키신저 전 장관은 “미군이 한반도의 가장 좁은 목인 평양∼원산 라인에서 진격을 멈췄으면 북한 전쟁수행 능력의 대부분을 궤멸시키고 북한 인구의 90%를 흡수해 통일 한국을 만들 수 있었을 것”이라며 “국경을 놓고 중국과 문제가 될 소지가 없었을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중국의 마오쩌둥(毛澤東)은 당시 저우언라이(周恩來)에게 ‘미군이 평양∼원산에서 멈춘다면 중국은 당장 공격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며 “그러나 마오쩌둥은 미군이 압록강까지 진격하자 이를 중국에 대한 ‘봉쇄’ 전략으로 인식하고 군사 개입을 결정했다”고 강조했다.
키신저 전 장관은 북한 문제를 미국과 중국 간 이해가 일치할 수 있는 영역으로 평가했다. 중국이 6·25 참전을 통해 얻은 교훈 때문에 미·중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만큼은 북한을 놓고 견해차가 없다는 것이다. 6·25전쟁은 중국에서 ‘굴욕의 세기’를 끝내고 세계무대에 서기 위한 결의의 상징이면서 동시에 심각한 결과를 장기적으로 초래하는 전쟁에 함부로 뛰어들어서는 안 된다는 경고이기도 했다는 설명이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bwbae@kmib.co.kr
“美, 6·25때 평양-원산 부근서 북진 멈췄으면 통일 이뤘을 것”
입력 2014-09-17 04:08 수정 2014-09-17 07: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