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와의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진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사측이 난데없이 거리로 몰려나왔다. 코레일 임직원 약 3000명은 15일 오전 서울역 앞 광장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경영 정상화 방안과 퇴직금 산정방식 변경에 조속히 사측과 합의하라고 노조 측에 촉구했다. 대전역, 경북 영주역, 전남 순천역, 부산역에서도 같은 집회가 열렸다. 전국철도노동조합은 조합원에게 불참 지침을 내렸지만 서울을 포함한 전국에서 8000여명이 참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코레일 전체 직원의 약 30%에 달하는 인원이다.
코레일 사측이 노조를 겨냥해 대규모 집회를 벌인 건 다급한 처지에 놓였기 때문이다. 정부와 약속한 경영 정상화 방안 제출 시한이 오는 20일로 닷새밖에 남지 않았다. 올해 방만경영 시정 지침을 받은 공기업 18곳 중 정상화 방안을 제출하지 못한 곳은 코레일뿐이다. 이 방안은 노사 합의가 필요하지만 코레일은 노사 간 협의 자체가 원점으로 돌아간 상황이다. 양측이 지난달 극적으로 합의한 정상화 방안이 이달 초 철도노조 조합원 총투표에서 과반의 찬성을 얻지 못해 부결됐고, 사측과 교섭을 진행해 온 노조 집행부는 자리에서 물러났다.
지금 가장 걸림돌이 되는 쟁점은 퇴직금 액수에 영향을 미치는 평균임금 산정방식 변경 문제다. 정부는 코레일에 최대 500%를 지급하는 성과급 중 200%만 퇴직금에 산정할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노조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하루가 급한 사측과 달리 수석부위원장 직무대리 체제로 전환한 노조는 새 집행부 구성 이후로 교섭을 미루고 있다. 코레일이 이례적으로 결의대회까지 개최한 건 노조를 협상 테이블로 끌어내기 위한 것이다. 철도노조는 16일 중앙위원회를 열고 후속 조치를 논의할 예정이다. 코레일 관계자는 “기한 내에 정상화 대책을 이행하지 못하면 국민의 신뢰를 잃고 정부 지침에 따라 코레일 임직원은 직간접적인 불이익을 받게 된다”며 “노조 집행부가 하루빨리 협상에 나서서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해 줄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
[비즈카페] 코레일 使측 거리로… 攻守 뒤바뀐 노사
입력 2014-09-16 0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