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지주 임영록 회장이 고립무원에 빠졌다. 금융감독원이 예고대로 임 회장 등을 검찰에 고발한 가운데 그의 입장을 따르던 KB지주 이사회도 금융 당국에 사실상 백기를 들고 사퇴 요구에 나섰다. 내외부에서 모두 압박을 하고 있지만 임 회장은 뚜렷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KB지주 이사회는 15일 오전 서울 모처에서 긴급 간담회를 열고 임 회장의 사퇴를 권고했다. 이경재 이사회 의장은 "임 회장 본인이 스스로 현명하게 판단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자진사퇴 권고냐는 질문에 이 의장은 "비슷한 얘기 아니겠느냐"고 답했다. 이사회의 최후통첩인 셈이다. 임 회장은 주전산기 교체 과정에서 은행 측과 갈등을 빚으면서 금융 당국으로부터 3개월 직무정지 처분을 받았다.
종전 임 회장 사퇴에 대해 유보적 입장을 보였던 이사회가 돌아선 것은 KB 정상화가 시급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 사외이사는 "임 회장이 억울한 점도 있다는 것을 안다"며 "하지만 금융 당국에 맞서 싸울 수 없는 만큼 KB의 경영정상화를 위해서는 임 회장이 현명하게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 금융 당국은 숙원사업이었던 LIG손해보험의 자회사 편입 승인이 어려워질 수 있음을 흘리며 KB지주를 전방위로 조이는 형국이다. 금융 당국은 임 회장의 버티기에 지배구조 불안정을 이유로 LIG손보 인수 승인을 거부할 명분이 생겼다. 예고한 대로 금감원은 국민은행 주전산기 전환사업과 관련, 임 회장을 비롯해 KB금융지주 김재열 전무(CIO), 문윤호 IT부장, 조근철 국민은행 IT본부장 등 4명을 이날 검찰에 고발하며 압박 수위도 높였다.
정치권에선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기식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국민은행이 제출한 고발장 내용을 공개하고 "임 회장이 주전산기 교체 계획에 깊이 관여한 정황이 있다"며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 고발장에는 임 회장이 김 전무로부터 김모 전 은행 IT본부장이 주전산기 교체의 걸림돌이 된다는 보고를 받고 지난해 9월부터 이건호 당시 행장을 수차례 만나 인사 교체를 요구한 내용 등이 담겼다.
임 회장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지만 그는 외부와 연락을 끊은 상태다. 본인이 사퇴 결단을 내리지 않을 경우 17일 열릴 이사회에서 대표이사직 해임 얘기가 나올 수 있다. 대표이사직 해임은 이사회에서 과반 의결로도 가능하다. 이 때문에 이사회 전 자진사퇴를 선택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하지만 임 회장이 금융 당국의 지속적인 압박에도 수차례 "명예회복을 위해 소송 등 모든 가능성을 고려하겠다"고 강조해온 만큼 사퇴 권고를 수용하지는 미지수다.
박은애 기자 limitless@kmib.co.kr
“임영록 회장 현명하게 판단해야”… KB 이사회, 사실상 자진사퇴 권고
입력 2014-09-16 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