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코너 몰리는 임영록… 9월 17일 이사회 ‘운명의 날’

입력 2014-09-15 03:11
임영록 KB금융지주 회장의 사퇴 거부로 교착상태에 빠졌던 KB사태가 사정 당국과 금융 당국의 전방위 압박으로 새 분수령을 맞고 있다. 검찰 수사와 금융 당국의 추가 고발, 이사회의 해임안 논의 등 KB 안팎에서 사퇴를 옥죄어 오는 상황에서 임 회장이 계속 버틸 수 있을지 주목된다. KB 집안싸움이 금융권을 넘어 법정 공방으로 번지면서 장기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법정으로 넘어간 공=금융감독원은 13일 KB금융의 경영정상화를 위한 ‘긴급금융합동점검회의’를 열어 15일 임 회장을 검찰에 고발키로 했다. 앞서 국민은행은 주 전산기 교체 의혹과 관련해 김재열 KB지주 최고정보책임자(CIO) 등 3명을 검찰에 고발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에서 이와 관련한 사실 관계 조사에 나선 상황에서 금감원 고발까지 더해져 수사대상과 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임 회장 역시 자신의 징계 수위가 부당하다며 행정소송을 불사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해 왔다.

금감원은 또 KB 전 계열사에 2∼3명씩 감독관을 파견한다. 전반적인 행정처분 조치와 법률 위반행위를 점검하기 위해서다. 자산건전성, 유동성·수익성, 시장신인도, 자산성장리스크, 리스크관리 등을 매일 모니터링해 이상 징후 발견 시 신속 대응하는 한편 KB지주 차원에서 임 회장에 대한 법률 조력, 경비지원 등이 이뤄지지 않도록 감시할 방침이다.

◇임영록 해임안 의결될까=KB지주 이사회는 17일 긴급 이사회를 열고 임 회장의 해임 여부와 후속조치, 경영정상화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13일 이경재 KB지주 이사회 의장을 만나 임 회장 직무정지 결정에 대해 설명하고 이사회가 적극 나서줄 것을 요청했다. 임 회장 해임에 무게를 실어달라는 의미다.

하지만 KB지주 이사회와 주주총회를 통한 해임은 쉽지 않아 보인다. 이사회에서 과반의 찬성을 얻더라도 주총의 특별결의를 거쳐야 한다. 발행주식 총수 3분의 1 이상, 주총에 출석한 주식 의결권의 3분의 2 이상의 동의가 필요하다. 사외이사 과반 이상이 임 회장과 오래 호흡을 맞춰왔고, 외국인 주주 비율도 60%가 넘는다는 점도 걸림돌이다. 이 의장은 “그날 논의를 해 봐야 알 수 있을 것”이라며 “사외이사들의 생각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어떤 결정이 내려질지 예단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만약 이사회에서 해임 결의가 나올 경우 주총에서도 통과될 가능성이 높다. 이럴 경우 임 회장은 안팎으로 궁지에 몰리게 된다.

금융권에서는 임 회장이 계속 버티기 힘들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금감원은 올 초 있었던 국민카드 고객정보 유출 건에 대한 제재도 조기에 마무리하기로 했다. 임 회장에게 또다시 중징계가 내려질 수도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3개월 뒤에 복귀하더라도 금융 당국과 이렇게 마찰을 빚은 상태에서 원활한 경영을 펼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당장 KB지주가 사업 다각화를 위해 추진해 온 LIG손해보험 인수도 다음달 자회사 편입 승인이 예정돼 있지만 무산될 수도 있다는 목소리가 금융권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박은애 기자 limitle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