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銀 대규모 징계 조기통합 변수로

입력 2014-09-15 03:14
하나은행과의 조기통합 추진으로 갈등을 빚고 있는 외환은행 노사가 은행권 사상 최대 규모의 징계 심의를 앞두고 ‘강대강’으로 맞서 있다. 사측은 이번 대규모 징계를 어수선한 분위기를 다잡고, 노조를 협상 테이블로 끌어들이는 카드로 활용하겠다는 복안이어서 조기통합 논의에 변수로 떠올랐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외환은행은 직원 898명을 인사위원회에 회부, 18일부터 24일까지 징계를 심의한다. 징계 사유는 은행 인사규정과 취업규칙에 근거한 업무지시 거부, 업무 방해, 근무지 무단이탈 등이다. 이들은 지난 3일 외환은행 노조가 개최하려다 무산된 임시 조합원 총회에 참석했거나 참석을 위해 임의로 자리를 비웠다. 외환은행 관계자는 “서면으로 징계 대상자들의 소명을 받고 있는데 인사위에 직접 출석해 진술하겠다는 사람도 있어 심의 기간이 길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한조 외환은행장은 조직 기강을 위해 대규모 징계는 불가피하다며 노조에 대한 강경 대응 입장을 밝혔다. 김 행장은 언론인터뷰에서 “전체 직원의 10%가 근무지를 무단으로 이탈한 것은 정상적인 조직에서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이를 가만히 덮고 넘어가면 조직의 기강이 무너진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불법 총회 소집과 대규모 징계로 노조도 압박을 받을 것”이라며 “대다수 직원은 노조가 하루속히 협상에 나서야 한다고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노조는 조합원 총회가 합법적인 쟁의행위이고, 사측이 협박과 물리적인 방해로 총회를 무산시켰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징계 철회를 요구했다. 김근용 노조위원장은 “경영진이 진정 노조와의 대화와 타협을 원한다면 징계성 인사 조치를 철회하고 징계절차를 전면 중단해야 한다”며 “만약 대규모 징계절차를 강행한다면 조기통합 강행을 위한 노조파괴 공작으로 규정해 전면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경영진이 징계를 철회하면 조기통합 논의에 나설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한편 노조는 “중앙노동위원회 황원래 공익위원이 지난 12일 김 행장을 면담해 징계절차를 당장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고 전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