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만경영 척결한다더니… LH 눈가리고 아웅

입력 2014-09-15 03:13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방만 경영 해소 차원에서 정한 ‘비상임이사의 보수 상한액’이 실제보다 훨씬 높아 사실상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강동원 의원에 따르면, LH는 올해 초 방만 경영 사례로 비상임이사의 보수 상한액이 없음을 스스로 꼽고 개선책으로 3000만원 한도를 설정했다. 비상임이사에게 그 이상의 보수를 주지 않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강 의원이 LH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보니 2010년 이후 현재까지 비상임이사의 보수로 가장 많이 지급된 돈이 1180만원에 불과했다. 강 의원은 “지금까지 3000만원 이상을 지급한 적이 없으므로 상한액을 3000만원으로 설정해 봐야 달라지는 건 없다”면서 “방만 경영의 고리를 끊겠다며 국민 앞에 내놓은 계획이 실제로는 눈속임에 불과했다”고 지적했다.

비상임이사의 수당도 개선된 점이 거의 없었다. 직무수당 월 200만원과 회의참석 수당 50만원이 종전처럼 지급된다는 것이다. 단 지방 거주자에게 회의참석 수당을 20만원 더 지급하던 관행만 개선됐다. 강 의원은 “비상임이사가 참석하는 회의는 10분도 채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면서 “수자원공사가 기존의 회의참석 수당 60만원을 올해부터 25만원으로 줄인 것과 크게 대비된다”고 말했다.

한편 LH의 비상임이사 가운데는 고위 공직자 출신이 다수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강 의원은 “대통령실 선임행정관, 경찰대학장, 건설교통부 부이사관 등이 비상임이사로 파악됐다”면서 “LH는 깊이 있는 자성의 의지를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