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 숨을 죽였다. 긴장감이 흘렀다. 일부는 진땀을 흘렸다.
지난 13일 서울 종로구 세종로 서울시립교향악단 연습실에서 열린 ‘지휘 마스터클래스’. 세계적인 지휘자 정명훈(61·사진) 서울시향 예술감독이 젊은 지휘자들의 실력을 직접 보고 조언하는 자리다.
이날 마스터클래스는 서울시향이 차세대 지휘자를 발굴하고 육성하기 위해 마련한 행사.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다. 지난해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최수열씨는 실력을 인정받아 지난 7월 서울시향 부지휘자로 선임됐다.
올해 참가자는 5명. 지난해 세계 최고 권위의 지휘자 콩쿠르인 프랑스 브장송 국제 지휘 콩쿠르 결선에 진출했던 윤현진(32), 울산시향·버팔로 필하모닉에서 객원 지휘를 한 이태영(42), 수원시향·빈 방송 교향악단에서 객원 지휘한 이태정(37), 독일 바이에른 코부르크 주립극장 부지휘자 정주현(36),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부지휘자 오디션 결선 진출자 장진(36)이다.
마스터클래스는 참가자들이 서울시향이 연주하는 브람스 교향곡 4번을 30분씩 지휘하면 정 감독이 조언을 해주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정 감독은 기본적인 몸동작에서부터 지휘자의 책임과 자세에 이르기까지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몸동작이 눈에 띄게 많은 참가자에게는 보다 단순하고 큰 그림을 보여주는 지휘를 해보라고 말했다. “단순할수록 더 많은 의미를 전달할 수 있고, 더 많은 제스처는 오히려 의미를 감소시킨다.”
감정과 에너지가 과도한 이에게는 자신도 젊은 시절 비슷한 우를 범한 적이 있다며 힘을 뺄 것을 주문했다.
정 감독은 마스터클래스를 마친 뒤 “지휘란 것은 시작은 힘들지 않지만 굉장히 오랫동안 많이 공부하고 경험이 있어야 제대로 할 수 있다”며 “나도 60세가 넘은 지금에서야 ‘지휘자’로 불려도 괜찮게 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지휘자의 궁극적인 목표는 당신의 음악적 생각을 수백명의 사람들과 공유하는 것”이라며 “자기 안의 영혼과 감정을 최대한 끌어내되 동작은 단순해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승주 기자 sjhan@kmib.co.kr
“지휘란 타인과 음악적 생각을 공유하는 것”
입력 2014-09-15 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