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청도 송전탑 건설을 반대하는 주민들에게 한국전력이 청도경찰서장을 통해 전달한 돈의 출처에 대해 수사가 집중되고 있다.
대구경북지사장 등 직원 5명은 경찰 조사에서 “회삿돈이 아니라 직원들이 개인적으로 위로금조로 낸 돈”이라고 진술한 것으로 14일 알려졌다. 그러나 개인 돈이라는 이들의 진술은 거짓일 가능성이 높아 한전이 비자금을 마련해 놓고 사용해 왔을 것이란 얘기가 나오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일단 계좌를 은행에 의뢰해 더 분석해봐야 할 것 같다”며 “이후 금원의 성격 및 출처 등에 대해 수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경찰의 수사는 한전 비자금 수사로 확대될 가능성이 커졌다. 돈 봉투 조성 과정이 석연치 않기 때문이다. 한전 대구경북지사가 송전탑 주민 로비용으로 별도 자금을 만들어뒀을 가능성이나 지역본부가 아닌 본사 차원에서 송전탑 반대 여론 무마용으로 조성했을 가능성 등에 대해 수사가 이뤄질 예정이다.
경찰은 1700만원이나 되는 거액을 직원들이 사비를 털어 냈다는 것은 결코 납득할 수 없다고 보고 돈의 출처에 대해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한전 고위층에 대한 수사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전은 추석 전인 지난 2일과 연휴기간인 9일 송전탑 건설에 반대해 온 청도군 각북면 삼평1리에 거주하는 7명의 지역 할머니들에게 이현희 전 청도경찰서장을 통해 100만∼500만원을 살포한 사실이 드러났다. 이 전 서장은 직위 해제됐다.
한전은 기초공사만 한 상태에서 주민 반발로 2년 가까이 공사를 중단했다가 지난 7월 공사를 재개했다.
청도=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
‘청도 송전탑 돈 봉투’ 사건 비자금 수사로 확대 가능성
입력 2014-09-15 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