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으로부터 공동비상대책위원장 제의를 받은 이상돈 중앙대 명예교수와 안경환 서울대 명예교수는 고사 의사를 밝히면서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이 교수는 12일 오전까지만 해도 당내 의견이 모아지면 공동비대위원장직을 맡겠다는 입장이었다. 그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박 위원장과 공유하고 있는 부분이 많고, 이런저런 전제조건이 해결되면 도와달라는데 관심 없다고 할 수는 없지 않느냐”며 “내가 결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과거 전력에 대한 새정치연합 의원들의 문제제기에 대해서도 “나에 대해 인신공격을 하면 상처를 입겠지만, 그런 것은 아니지 않느냐”라며 수긍할 수 있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하지만 당내 반발이 거세지자 점차 부정적인 쪽으로 입장이 변했다. 그는 오후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하루 이틀 사이에 동력을 다 상실했고, 객관적으로 봐도 너무 맥이 빠졌다”고 토로했다. 이어 “당에서 연판장도 돌리고, 나 때문에 단식하겠다는 사람도 있다는데 자연스럽게 안 된다고 봐야 하지 않겠느냐”며 고사 의사를 표명했다. 그러면서도 “내가 점령군도 아니고, 벼슬을 하겠다는 것도 아니다”라며 서운한 감정을 내비쳤다.
안 교수도 언론 인터뷰에서 “내부 갈등상태에서 바깥 사람이 어떻게 일할 수 있겠느냐”면서 “내부의 절실한 욕구와 의지, 그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결론을 통해 외부 사람 영입작업을 하지 않고는 가는 사람이 기여를 별로 못한다”고 말했다. 이어 “당내에서 외부 사람을 영입하려면 적어도 하나의 기관으로서 합의된 의견을 갖는 것부터 시작해 사람을 접촉하는 게 예의”라고 불쾌감을 표시했다.
안 교수는 보수 성향의 이 교수 영입에 강하게 반발하는 당내 인사를 향한 불편한 심기도 드러냈다. 그는 “중간층 사람을 더 흡수해야 하는데 지금은 (중간층이 당에) 더 실망하고 이탈하는 것처럼 보인다”며 “이래서는 절대 집권하지 못하는데, 그런 고민의 흔적이 전혀 안 보여 답답할 뿐 아니라 애정을 가진 사람으로서 실망스럽고 안타깝다”고 꼬집었다.
서울대 법과대학장과 노무현 대통령 시절 제4대 국가인권위원장을 지낸 안 교수는 지난 대선 당시 문재인 후보 캠프의 새정치위원회 위원장을 맡기도 해 사실상 진보 진영의 원로로 활동해 왔다.
최승욱 기자
[내홍 휩싸인 새정치연합] 이상돈 “점령군도 아니고” 안경환 “합의된 의견 갖고 접촉해야 예의”
입력 2014-09-13 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