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비상대책위원회 구성 문제로 자중지란에 빠지면서 집중적으로 다뤄야 할 주요 현안도 우선순위에서 뒤로 밀리는 모양새다. 세월호 특별법과 원세훈 전 국정원장 재판, 담뱃값 인상 등에 대해 입장을 밝히긴 했지만 당내 분란 탓에 총력 대응은 전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우선 세월호 특별법은 추석이 지나도 꼬인 매듭이 풀리지 않고 있다.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이 비상대책위 인선 문제로 당내 입지가 크게 좁아지는 바람에 상황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 박 위원장이 앞으로 협상을 제대로 해나갈 수 있을지, 여야 합의가 도출되더라도 당내에서 추인받을 수 있을지 장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박 위원장은 원내대책회의에서 "대통령이 방미하는 9월 21일 이전에 세월호 특별법 협상이 타결돼야 한다"며 청와대 압박만 되풀이했다.
이런 가운데 당의 방침과 배치되는 주장도 나왔다. 조경태 의원은 보도자료를 내고 "15일 본회의를 열어 민생법안을 처리해야 한다"고 촉구하며 세월호법을 최우선적으로 처리해야 한다는 당 지도부 입장에 맞섰다.
당 지도부는 원 전 원장의 공직선거법 무죄 선고에 대해서도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 조정식 사무총장은 원내대책회의에서 "원 전 원장에 대한 선거법 무죄 판결은 100% 정치적 판결"이라며 "원 전 원장의 유죄를 인정하면서도 정권과 청와대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판결"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당의 관심이 온통 비대위원장 지명에 쏠리면서 주목도가 떨어졌다. 지난해 국정원의 대선 개입을 주장하며 대대적인 장외투쟁을 벌인 것에 비하면 미지근한 대응에 그친 셈이다.
담뱃값 인상도 민생과 직결된 이슈지만 새정치연합의 대응은 원칙적인 입장 발표에 머물렀다. 우윤근 정책위의장은 "정부가 금연종합대책의 일환으로 담뱃세 인상을 발표했지만 그 본질은 세수 부족을 메우기 위한 증세"라고 지적하는 데 그쳤다.
제1야당으로서 중요 현안에 대해 적극적인 대응을 해야 함에도 당 대변인단은 이를 뒤로한 채 박 위원장의 외부인사 영입과 관련한 설명을 하는 데 장시간을 할애했다. 당내에서는 계파별로 하루 종일 비대위원장 영입 문제에 대해 논의하느라 분주했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최민희 의원은 자신의 트위터에 "이상돈 비대위원장 파동으로 원세훈 건 날아가고… 세월호 특별법 잠시 사라지고, 지금 도대체 우리 뭐 하는 건가, 죄송합니다"라고 적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
[내홍 휩싸인 새정치연합] 비대위 구성 등 당내 갈등에 세월호법 처리도 ‘뒷전’
입력 2014-09-13 0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