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세월호 특별법에 대한 여야 간 '재재협상'을 전격 촉구했다. 또 '데드라인'을 14일로 못 박으며, '입법 제로' 상태의 국회 파행을 방치할 수 없다는 논리로 야당을 압박했다. 이에 따라 여야가 이 시한을 넘겨서도 접점을 찾지 못하면 새누리당이 단독으로 15일 본회의를 열어 민생법안을 분리 처리하는 수순을 밟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김 대표는 11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작심한 듯 "여야 원내대표 두 분이 모든 재량권을 가지고 마지막 협상을 이번 주말까지 타결해주기 바란다"며 "양당 의원총회에선 이 합의를 무조건 추인해서 국회 정상화를 반드시 이뤄야 한다"고 말했다.
이완구 원내대표는 야당과 유가족의 입장이 확실히 정리되지 않았다는 어려움을 토로하면서도 대화를 이어가겠다고 공언했다. 오후에는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원내대표와 회동을 가졌지만 합의점을 찾진 못했다. 재합의문에 대한 야당과 유가족 측 입장에 대해 포괄적으로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두 사람은 주말까지 회동을 이어갈 예정이다.
이 원내대표는 회동 이후 기자들과 만나 "야당과 유가족의 입장 정리가 안 끝나면 다음 스텝으로 갈 수 없다"고 말했다. 야당과 대화를 이어가되 지난달 19일 타결된 재합의안을 백지화할 수 없다는 취지로 보인다. 새정치연합 측도 "유가족이 납득할 만한 수준에서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여야 협상에서 전면에 나서라는 야당 측 요구를 외면하던 김 대표가 침묵을 깨고 과감한 발언을 한 만큼 여당이 양보안을 내놓을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하지만 현재로선 당내에서 더 이상 물러설 여지가 없다는 의견이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여야 간 대화 창구는 열어놓되 여차하면 세월호 특별법과 분리해서 민생법안만 따로 처리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김 대표는 "추석 민심을 종합해 보면 제 역할을 못하는 국회에 대한 국민적 분노가 하늘을 찌를 듯하다"며 "민생경제 법안을 분리 처리하자는 제안이 거부될 경우 정의화 국회의장은 본회의에 계류 중인 법안을 국회법에 정해진 대로 직권상정해 처리해 주기를 바란다"고도 했다.
그러나 정 의장은 여야 간 의사일정 합의 없이 의장 단독으로 본회의를 열지는 않는다는 확고한 입장이다. 여야 원내대표에게 '의사일정안'까지 제시하면서 합의를 거듭 촉구했다. 오전에는 국회의장 접견실에서 새누리당 정갑윤, 새정치연합 이석현 국회부의장을 만나 "'국회가 없어져야 하지 않느냐'는 극단적인 얘기도 있었다"고 추석 민심을 전하며 이른 시일 내 국회를 정상 가동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경택 권지혜 기자 ptyx@kmib.co.kr
김무성 “세월호법 9월 14일까지 타결” 촉구
입력 2014-09-12 0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