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자치구들이 자체 수입으로는 기본적인 행정 수요를 감당하지 못할 정도로 재정난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체 수입으로는 소속 공무원 인건비조차 감당하지 못하는 자치구도 2곳이나 됐다.
11일 서울시 자료에 따르면 시가 보통교부금을 지급하기 전 25개 자치구의 올해 평균 기준재정수요충족도(재정력지수)는 66.3%에 그쳤다. 50% 미만인 곳도 4곳이나 됐다.
기준재정수요충족도는 기준재정수요액을 기준재정수입액으로 나누고 100을 곱한 수치다. 자치구가 매년 기본적으로 지출해야 하는 비용을 세입으로 얼마나 충당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척도다.
보통교부금 교부 전 25개 구의 기준재정수요충족도는 2010년 71.9%에서 2011년 69.7%, 2012년 66.6%, 2013년 65.7%로 감소추세다.
교부금 지급 전 기준재정수요충족도가 100%를 넘는 자치구는 강남구(145%) 뿐이다. 노원구(40.7%), 도봉구(47.3%), 성북구(49.8%), 강북구(49.4%)는 50%를 밑돌았고 중랑구(50.1%), 은평구(53.1%), 광진구(53.1%), 양천구(54%) 등 다른 자치구들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
특히 강북구와 도봉구는 지방세 수입과 공영주차장 운영, 인지 판매 등에서 나오는 세외 수입 등 자체수입으로는 소속 공무원 인건비도 감당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강북구는 자체 수입 대비 인건비 비중이 103%였고, 도봉구도 102%였다. 노원구도 98%로 비슷한 처지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서울시는 보통교부금 지급 등을 통해 자치구의 기준재정수요충족도를 100%에 가깝게 메워주고 있지만 항상 부족한 상황이다. 보통교부금은 중앙정부나 광역 시·도가 재정 수입이 재정수요에 미달하는 지방자치단체에 지원하는 돈을 말한다.
시 관계자는 “자치구들이 비용을 분담해야 하는 국고보조사업이 복지사업을 중심으로 계속 확대되고 있지만 교부금 예산은 부족하다”며 “국고보조사업의 중앙정부 분담률을 더 높이거나 지자체의 세수를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서울 자치구 곳간 텅텅… 직원 월급 못줄 곳도
입력 2014-09-12 0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