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브리핑] 금리, 연거푸 내린 전례없어 동결 유력… 최 부총리 “재정·통화정책 유지돼야”

입력 2014-09-11 04:36
한국은행이 12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기준금리 추가 인하 여부를 결정한다. 2001년 정보·기술(IT) 거품 붕괴 시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를 제외하고는 한은이 기준금리를 연거푸 내린 적은 없어 이번에는 동결될 것이란 전망이 유력하다.

한국금융투자협회가 채권시장 종사자 113명을 상대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96.5%가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했다. 정부의 부동산 활성화 대책 시행 후 한 달 새 7개 주요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4조원 가까이 늘어나는 등 가계부채 문제가 부각된 것도 추가 금리 인하를 주저하게 만드는 요인이다. 지난달 금통위에서도 다수 위원들이 가계부채 증가를 우려하며 금리인하 효과를 지켜보자는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한은이 연내 금리를 한 번 더 내릴 것이란 기대감은 여전히 남아있다. 전민규 한국투자증권 연구위원은 "경제지표가 더디게 회복되는 모습이 한두 달 더 이어지면 칼자루를 뺄 수밖에 없다"며 "한은이 10월 수정 경제전망 때 올해 경제성장률과 물가 전망치를 낮추고 11월에 금리를 추가로 인하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예상보다 부진하고 저물가 기조가 뚜렷해지는 가운데 경제 활성화 법안이 국회에서 발목 잡히면 금리를 더 내리라는 정부의 압력이 더욱 거세질 수 있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판교에서 기자들과 만나 "2분기 GDP를 보면 경제 회복세가 굉장히 미약한 상황"이라며 "정부는 모든 조치를 취하고 있는 상황으로, 회복세를 확실히 뒷받침할 수 있는 재정·통화 정책이 당분간 유지돼야 한다"고 말했다.

유럽중앙은행(ECB)이 동결이 예상됐던 기준금리를 지난 4일 0.15%에서 0.05%로 0.1% 포인트 내린 것도 한은엔 추가 금리인하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지난달 기준금리 인하를 전후해 은행들은 예·적금 금리를 내리고 우대금리나 수수료 면제 혜택을 축소했다. 예·적금 금리가 1% 중반대까지 떨어져 은행에 큰돈을 맡겨도 이자소득세(15.4%)를 빼면 손에 쥐는 이자가 거의 없게 됐다.

천지우 기자 mog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