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학교용 교재 스마트폰으로 개발을” “사찰 문화재 관람료 거부운동 벌여야”

입력 2014-09-11 04:13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통합 서울관악노회에서 공식 예배 때 순서지나 화면에 성경이나 찬송을 수록·투사하지 않도록 해 달라는 청원을 총회에 제출했다. 순서지나 화면에 본문과 찬송이 나와 있는 데다 스마트폰까지 보급되면서 성경·찬송을 지참하지 않는 성도들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같은 교단 부산남노회에선 미래세대를 위해 교회학교용 교재를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앱)으로 개발해 달라는 헌의안을 냈다.

오는 22일부터 막을 올리기 시작하는 주요 장로교단 총회를 앞두고 이색 헌의안이 눈길을 끌고 있다. 이들 헌의안은 대부분 교회 현장의 문제의식과 고충, 정서를 반영한 것이다.

예장고신 농어촌위원회는 연간 예산 2500만원 미만인 농어촌 미자립교회 목회자들이 은퇴 후 교회에서 도움을 받지 못하는 만큼 정년 후에도 계속 설교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청원했다. 예장통합 군산노회는 교회당을 매매할 때 반드시 노회 허락을 받도록 하자는 안을 헌의했다. 교회당이 불법 거래되거나 이단에 넘어가는 일이 있기 때문이다. 예장통합 서울서북노회 등에선 ‘현 총회장의 임기를 4년으로 늘리자’는 헌의안을 제출했다. 사업의 연속성이나 업무 파악에 임기 1년은 너무 짧다는 이유에서다.

목회자 자질과 수급 문제에 대한 고민을 담은 헌의안도 잇따랐다. 예장고신 수도노회는 교역자 수급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 신대원 정원을 축소해야 한다는 청원서를 냈다. 예장합동 함북노회는 신대원에 입학하거나 강도사 고시 면접을 볼 때, 정부 공인기관의 정신건강 확인서를 첨부토록 하자는 안을 총회에 헌의했다. 예장백석에선 전도사 고시 합격자 중 성범죄자, 동성연애자, 이혼자를 제명·치리해야 한다는 헌의안이 올라와 있다.

한국교회 연합사업과 관련된 헌의안도 있다. 예장통합 서울동노회와 남원노회에선 일정한 자격이 충족되는 교단을 중심으로 제3의 연합기관을 구성해야 한다는 헌의안을 냈다. 같은 교단 부산남노회와 포항노회에선 한국기독교총연합회와 한국교회연합을 하나로 묶는 개신교 대표기관을 창설해야 한다는 안을 제출했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동성애, 사이비종교, 한반도 통일, 종교편향 등과 관련된 안건도 많았다. 예장통합 서울노회에선 미국장로교회(PCUSA)의 동성결혼 허용 결의를 재고토록 해 달라는 헌의안을 내놓았다. 같은 교단 서울서북노회는 건강한 교단들과 힘을 합쳐 ‘사이비 종교특별법’이 국회에서 제정될 수 있도록 청원하자는 안을 냈다. 예장합동 용천노회는 ‘단(丹)사상’의 사이비종교 규정에 대한 청원을 제출했다.

같은 교단 대전노회는 노회 예산의 1%를 통일비용으로 사용할 것을 헌의했으며, 예장통합 남북한선교통일위원회는 신학교에 북한선교학 석사과정을 개설하자는 안을 제출했다.

예장합동 서울노회에선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기후환경위원회를 설치해 달라는 안, 한국기독교장로회 경기남노회에서는 종교편향이 짙은 불교사찰의 문화재 관람료 징수에 대해 거부운동을 벌여야 한다는 안을 헌의했다.

예장합동 관계자는 “매년 헌의안만 300개가 넘기 때문에 시간에 쫓겨 총회 마지막 날 1∼2분 만에 속전속결로 처리하기도 한다”면서 “좋은 헌의안들도 많기 때문에 충분한 시간을 갖고 토론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백상현 이사야 유영대 기자 100s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