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3일 단행한 개각 및 여당 당직 인선에서 새로 임명된 인사들이 취임하자마자 앞 다퉈 우경화 발언을 쏟아냈다.
집권 자민당의 이나다 도모미 신임 정무조사회장이 취임 후 민방인 BS후지에 출연해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을 인정하고 사죄한 고노(河野) 담화를 수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산케이신문이 4일 보도했다.
이나다 정조회장은 방송에서 고노 담화에 대해 “허위 사실로 인해 국가의 명예가 국제적으로 실추되고 있는 상황이 개탄스럽다”며 “명예 회복을 위해선 담화를 수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나다 정조회장은 자민당 내에서도 보수파의 최선봉으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변호사 출신으로 아베 총리의 추천으로 정계에 입문한 그는 이번 개각을 계기로 행정개혁상에서 자민당 정조회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나다 정조회장은 2012년 12월 입각한 뒤 야스쿠니 신사 제사에 꼬박 참여해 왔다. 2011년 8월에는 한국의 독도 지배 강화 실태를 살펴보겠다며 울릉도 방문길에 나섰다가 김포공항에서 입국이 거부된 적도 있다. 정부의 법안을 사전심의하고 각계의 입장을 정책에 반영하는 정조회장 자리에 극우 성향의 이나다가 취임한 만큼 아베 정권의 우경화 행보가 가속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산케이신문은 이어 에토 아키노리 신임 방위상 겸 안보법제담당상도 집단 자위권 행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보도했다. 취임 당일 밤 기자회견에서 그는 아베 정권이 지난 7월 집단 자위권 행사를 용인한 것에 대해 “어느 정도 필요한 부분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어느 나라도 한 나라만으로 평화를 지킬 수 없다. 어떤 일이 발생해도 대응할 수 있는 법 정비를 생각해야 하며 제대로 검토하고 더 나은 모양을 만들고 싶다”고 말해 향후 집단 자위권 행사를 위한 관련 법 정비에 착수할 것을 예고했다. 잇따른 우경화 발언과 함께 새로 출범한 아베 2기 내각의 각료 19명 중 15명이 우익 성향 단체인 ‘일본회의’ 소속으로 밝혀지면서 직전 내각보다 더 보수적 색채를 강화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본회의는 자랑스러운 나라 만들기, 왕실 존숭, 개헌, 애국심, 방위력 정비 등을 강조하며 아베 정권 우경화 전선의 ‘돌격대’ 역할을 자임해 왔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신임 자민당 정조회장도 우경화 발언… 취임 직후 “고노담화 수정해야”
입력 2014-09-05 0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