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특별법이 표류하면서 새정치민주연합에서 당의 진로를 두고 다시 한번 당내 논란이 불거질 조짐이다. 대여 강경투쟁론이 재점화되는 가운데 4일로 취임 한 달이 되는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의 거취 문제도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를 전망이다.
3일 실시된 의원총회에서는 세월호 특별법 처리와 관련해 강한 투쟁을 주문한 의원이 많았다. 박범계 원내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강하게 투쟁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고, 그러지 말아야 한다고 한 사람은 많지 않았다”고 전했다.
추석 이후 강경투쟁론이 불붙으면 원내외 병행 투쟁을 강조해온 박 위원장의 입지는 더 위축될 가능성이 크다. 두 번이나 협상에 실패한 책임이 있는 박 위원장이 더 이상 당을 이끌 동력이 없다는 논리다. 세월호법에 대한 여야 원내대표 합의가 의원총회에서 두 차례 거부되면서 이미 당내에서는 박 위원장 퇴진론이 나온 바 있다.
당내 중진 의원들은 지난달 말 박 위원장에게 직접 위원장 사퇴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원혜영 의원은 MBC라디오 인터뷰에서 “많은 의원들 사이에 비대위원장·원내대표 분리체제에 대한 공감대가 조성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더 강력하고 적극적인 대응을 위해 투 톱 체제가 바람직하다”고 밝히기도 했다. 강경파 한 의원도 “두 번의 협상실패 이후 의원들의 솔직한 심정은 원내대표까지 그만두게 하는 것이지만 현 상황에서 원내대표가 사퇴하면 당이 자중지란에 빠지게 된다”며 “고육지책으로 비대위원장을 분리해주는 안으로 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박 위원장 측은 현재로선 사퇴 의사가 없다. 박 위원장 측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당헌·당규상 비대위 구성 권한은 박 위원장에게 있다”며 “박 위원장이 물러나면 비대위 구성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박 위원장이 비대위원을 조만간 발표하면서 퇴진론을 정면 돌파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새정치 對與 강경투쟁론 재점화… 박영선 거취 논란 다시 ‘수면 위’
입력 2014-09-04 0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