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에 신발주머니 형태의 두건을 쓰고 손발이 결박된 채 포로체험 훈련을 받던 특전사 부사관 2명이 사망했다. 외국에서 도입해 시험적으로 실시한 첫 훈련이었음에도 제대로 교육받은 교관이 배치되지 않았다. 군이 장병의 생명이 위협받을 수 있는 ‘고강도 훈련’을 아무 계획 없이 실시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육군은 3일 “2일 오후 10시40분쯤 충북 증평 제13공수특전여단 예하 부대에서 특수전 훈련을 받던 이모(23), 조모(21) 하사 2명이 숨지고 전모(23) 하사가 다쳤다”고 밝혔다. 육군 관계자는 “머리에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두건을 씌우고 목 부위에 끈을 조인 뒤 무릎을 꿇려 양손을 뒤로 해 손과 다리를 포박한 상태였다”며 “컴컴한 곳에서 포로가 느끼는 감정을 느껴보는 훈련 중 호흡곤란이 발생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병원 측도 질식사로 추정했다.
부대원 24명이 지난 1일부터 4박5일 일정으로 ‘포로 시 행동요령’ 훈련을 받던 중이었다. 10명의 부사관이 결박 훈련을 받았다. 일부 부사관이 ‘살려달라’고 소리쳤지만 훈련 상황으로 인식돼 구조되지 못했다. 교관들은 순찰을 돌게 돼 있었지만 위급상황을 미리 발견하지 못했다. 육군은 “전 하사가 소리쳐 확인하니 의식이 혼미해 병원으로 옮겼다”며 “다른 부사관들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의식을 잃은 2명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군은 미군으로부터 이 훈련을 도입해 처음 실시했지만 사전연수 등 교관들에 대한 정밀한 교육을 실시하지 않았다. 미군 특수부대인 그린베레는 훈련 교관에 대해 3주간 교육을 받게 한다. 군이 총기난사, 구타사망 등 잇따른 사건에도 불구하고 안전사고 문제에 여전히 취약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
특전사 2명 ‘포로체험’ 훈련 중 사망… 美서 도입 첫 훈련서 사고
입력 2014-09-04 0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