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페트로 포로셴코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동부지역에서 진행 중인 정부군과 친러시아 반군의 교전 상황과 관련, “휴전과 평화 촉진을 위한 노력을 전개하기로 합의했다”고 우크라이나 대통령 공보실이 3일(현지시간) 밝혔다.
우크라이나 대통령 공보실은 당초 푸틴 대통령과 포로셴코 대통령이 이날 전화 통화를 하고 “돈바스(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루간스크) 지역에서의 영구적 휴전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러시아 크렘린궁은 성명을 통해 “러시아는 분쟁 주체가 아니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휴전에 합의할 수 없다”면서 우크라이나 측 발표 내용을 부인했다. 이에 우크라이나 대통령 공보실은 대체성명을 내고 “돈바스 지역에서의 휴전 체제(regime)에 대해 합의가 이뤄졌다”며 “평화 정착을 촉진하기 위한 행보에 대한 상호 이해에 도달했다”고 수정 발표했다.
몽골을 방문 중인 푸틴 대통령은 현지 기자회견에서 “오늘 오전 포로셴코 대통령과 전화로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을 위한 계획을 논의했다”면서 “이를 위해 몇 가지 조건이 충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타르타스 통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먼저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반군이 작전을 중단해야 하며 뒤이어 양측의 휴전 체제를 감시할 객관적이고 국제적인 통제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조건을 제시했다. 또 정부군이 인도주의 구호물자 운송을 위한 통로를 열어줘야 하며 교전으로 파괴된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 인프라 시설 복원을 위한 복구팀 파견도 이루어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푸틴 대통령은 5일 벨라루스 수도 민스크에서 열릴 예정인 우크라이나 정부와 반군, 러시아,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등 다자 실무대표단 모임인 ‘접촉그룹’ 회의에서 구체적 해법에 대한 최종 합의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휴전 당사자인 친러시아 반군도 현재로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반군이 독립국으로 선포한 도네츠크인민공화국 정부 공동의장인 미로슬라프 루덴코는 “우크라이나가 휴전을 받아들인다면 휴전할 준비가 돼있지만 우선 정부군 철수가 먼저”라고 선을 그었다고 BBC가 보도했다.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정상회의 참석차 유럽을 방문 중인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에스토니아에서 관련 질문을 받고 “러시아가 지속적으로 탱크와 병력을 우크라이나에 보내는 한 현실적인 평화 정착은 어렵다”며 “관련 보도도 그런 의미에서 의의를 판단하기 아직 이르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이제훈 기자 parti98@kmib.co.kr
푸틴-포로셴코 통화… ‘휴전 합의’ 싸고 엇갈린 주장
입력 2014-09-04 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