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퇴하는 녹색성장] 국내차 업계의 완승… 수입차 업체 불만

입력 2014-09-03 03:55
정부의 저탄소차협력금제 시행 연기에 대해 자동차 업계는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반면 배출권거래제 완화 시행에 관해선 보완책이 필요하다는 게 산업계의 목소리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2일 짤막한 성명을 내고 “저탄소차협력금제 유예 결정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친환경차와 연비 기술에 대해 적극 투자하겠다는 뜻도 표명했다. 현대·기아차를 비롯한 국내 자동차 회사들은 공식 입장 표명을 자제했으나 내부적으로는 정부 결정을 크게 반기는 분위기다. 제도 시행 연기에 관해서는 자동차 업계가 정부와의 줄다리기에서 완승을 거뒀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현대·기아차의 영향력에 비쳐볼 때 처음부터 큰 기대는 하지 않았다는 수입차 업체 반응도 있다. 일부 수입차 업체는 제도 시행 연기에 아쉬움을 나타냈다. 푸조·시트로엥을 수입하는 한불모터스 관계자는 “중소형 차가 많은 우리로서는 판매에 유리한 제도였는데 안타깝다. 최대한 빨리 시행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하이브리드 차량을 판매하는 업체는 내년부터 지급될 보조금(100만원) 제도에 대해 관심을 나타냈다. 프리우스와 CT200h 등 2종이 보조금 지급 차량으로 선정된 한국도요타의 경우 “하이브리드차 저변 확대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표시했다. 현대·기아차도 그동안 부진했던 하이브리드차 판매가 늘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산업계는 배출권거래제와 관련해선 추가 부담 완화를 요구하는 분위기다. 전국경제인연합회 김태윤 미래산업팀장은 “국민경제 피해 최소화를 위해 경제계가 참여한 가운데 현실 여건에 맞도록 BAU(평시예측배출량)를 재산정하고, 할당량 상향 조정 등 기업이 체감할 만한 부담 완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