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일부터 11일까지 열리는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BIFF)에는 세계 79개국의 314편이 상영된다. 부산국제영화제조직위원회는 2일 오전 부산 해운대 영화의전당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두 차례 기자간담회를 열어 상영작과 초빙인사 등 영화제 계획을 발표했다. 영화제는 영화의전당, 롯데시네마 센텀시티, 메가박스 해운대 등 부산시내 7개 극장 33개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초청 작품은 79개국 314편이다. 지난해 70개국 301편보다 9개국 13편이 늘었다. 전 세계에서 최초로 공개되는 월드 프리미어에는 98편(장편 66편·단편 32편), 자국을 제외하고 처음 상영되는 인터내셔널 프리미어에는 36편(장편 33편·단편 3편), 젊은 감독의 작품이 소개되는 뉴 커런츠 부문에는 12편, 특별기획 프로그램에는 20편 등이 선보인다.
개막작으로 대만 도제 니우 감독의 ‘군중낙원(Paradise in Service)’, 폐막작으로는 홍콩 리포청 감독의 ‘갱스터의 월급날(Gangster Pay Day)’이 각각 선정됐다. ‘군중낙원’은 니우 감독이 1960∼70년대 대만에서 군 생활을 한 아버지 세대의 추억을 반추하며 만든 작품이다. 중국 본토와 대만 사이 이산가족의 아픔, 억압적 군대문화 등을 그려냈다.
‘갈라 프레젠테이션’ 섹션에는 아시아를 대표하는 거장들의 신작 4편을 선보인다. 임권택 감독의 102번째 작품 ‘화장’이 국내 관객과 처음 만난다. 중국 장이머우 감독의 ‘5일의 마중’은 오랜만에 궁리와 다시 호흡을 맞춘 작품이다. ‘올해의 아시아 영화인상’을 수상하는 홍콩 쉬안화 감독의 ‘황금시대’, 이란 출신 모흐센 마흐말바프 감독의 ‘대통령’도 초청됐다.
초청작 상영 외에 정진우 감독의 ‘한국영화회고전’, 터키영화 100주년을 기념하는 ‘터키 독립영화 특별전’, 흑해 연안국인 조지아의 여성감독 작품을 집중 소개하는 ‘조지아 특별전’이 특별 프로그램으로 마련된다. 영화제 기간에 열리는 아시아프로젝트마켓(APM)에는 중국의 해외배급사와 아시아를 대표하는 매니지먼트사가 대거 참가할 예정이다.
중국 장이머우 감독과 배우 궁리, 홍콩 쉬안화 감독, 태국 출신 첸커신 감독, 헝가리의 벨라타르 감독, 최근 김태용 감독과 결혼해 화제를 뿌린 중국 배우 탕웨이 등이 주요 초청 손님으로 영화제 기간에 부산을 찾는다. 국내 인사는 봉준호 감독, 배우 안성기 등이 참가한다. 10월 2일 오후 7시 영화의전당에서 열리는 개막식 사회는 일본 배우 와타나베 켄과 문소리가 맡는다.
이용관 집행위원장은 “네팔 등 다양한 나라의 다양한 작품을 많이 발굴해 여타 영화제들과 확실히 차별화되는 행사가 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서병수 조직위원장은 “개·폐막작 상영 때 내빈 초청을 대폭 축소하고 일반 관객 좌석 비율을 50% 이상 확대해 1000여석을 늘렸다”며 “관람객들이 주인이 되고 즐기는 축제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광형 선임기자 ghlee@kmib.co.kr
‘군중낙원’으로 막 열고 ‘갱스터의 월급날’로 닫는다
입력 2014-09-03 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