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 주택시장 활성화 대책-부동산시장 반응] 재건축 연한 단축… 목동·상계동 수혜주

입력 2014-09-02 16:12
서울 양천구 목동 신시가지아파트 2·3단지 전경. 1일 정부가 발표한 부동산 대책에 따라 이르면 내년 하반기부터 서울의 재건축 연한이 40년에서 30년으로 단축되면 목동아파트 1∼14단지 2만6629가구가 가장 큰 혜택을 볼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했다. 연합뉴스

부동산 전문가들은 재건축 규제 완화 대책으로 서울 강남권과 함께 양천구 목동과 노원구 상계동이 가장 혜택을 볼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재건축 사업 본격화에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봤다.

부동산114 함영진 리서치센터장은 1일 “목동은 서울시가 재건축 관련 종합정비계획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안다”며 “이번 재건축 연한 단축이 맞물리면서 집값 상승 등에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목동 아파트단지는 1985∼88년 준공한 아파트로 5층 이하 저층과 15층 이하 고층 아파트가 섞여 있다. 단지별 용적률이 110∼160%대로 강남권 저층 아파트를 제외하고는 가장 낮다. 학군 등 입지 여건도 좋은 편이다. 현재 재건축 기본계획을 수립해 놓은 상태여서 연한 단축으로 사업 논의가 본격화할 여지가 커졌다. 최대 수혜가 예상되는 단지는 양천구 목동 신시가지아파트 1∼14단지 2만6629가구다.

노원구에서는 88년 지은 상계동 주공 1∼16단지 3만여 가구가 혜택을 볼 것으로 예측됐다. 상계 주공은 용적률이 160% 안팎으로 법정 상한(250∼300%)보다 낮다. 다만 수익성 문제로 재건축과 리모델링이 함께 검토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노원구 하계 건영·벽산·미성·극동·우성 등 개별 단지는 88∼89년, 마포구 성산 시영(3700가구) 아파트는 86년 6월에 준공돼 연한 단축 대상에 들어간다.

강남권에서는 송파구 문정동 올림픽훼밀리아파트(4494가구), 송파구 방이동 올림픽선수기자촌(5540가구), 문정시영(1396가구), 삼풍(2390가구) 등이 수혜 단지로 꼽힌다. 하지만 대체로 단지 규모가 커 본격적인 재건축 사업 추진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용적률이 200% 내외인 단지는 재건축 연한이 완화되더라도 사업성 문제에 걸린다. 사실상 1대 1 재건축이거나 일반분양분이 거의 없어 조합원의 추가 부담금이 크다. 부동산 시장 침체로 조합원 간 갈등이 심해지고 시공사와의 분쟁이 잦아진 점도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연한 단축 등으로 재건축 사업이 빨라졌다는 점에서 기대감은 줄 수 있으나 대부분의 단지는 실제 사업 추진까지 시간이 오래 걸릴 것”이라고 진단했다. 김동수 한국주택협회 진흥실장은 “국회에 계류 중인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분양가상한제 등도 폐지돼야 재건축 사업에 숨통이 트일 것”이라고 말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