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필수과목이 된 한국사의 1등급 구분점수(1등급컷)가 40점으로 결정됐다. 20개 문항에 50점 만점의 절대평가로 진행된다. 수험생 간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표준점수에 따라 등급이 구분되는 게 아니라 원점수로 40점 이상이면 최고 등급을 받는다. 2017학년도 수능은 현재 고교 1학년생이 본다.
교육부는 1일 ‘2017학년도 수능기본계획 및 대학입학전형 기본사항’을 발표했다. 한국사는 4교시 탐구영역과 함께 실시되며 이에 따라 4교시 시험시간이 30분 늘어났다. 40∼50점이 1등급이고 2등급 밑으로는 점수가 5점 낮아질 때마다 1개 등급씩 하락한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수능 필수과목으로 지정된 한국사를 입시에 활용토록 대학에 권고하기로 했다.
관건은 주요 대학이 한국사 수능 최저등급을 어떻게 설정할지다. 하늘교육 임성호 대표는 “첫 시행이어서 난이도에 대한 불확실성이 있는 만큼 안정적으로 2등급 이내로 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또 이명박정부가 도입했던 수준별 시험이 완전히 폐지돼 2013학년도 체제로 돌아간다. 국어와 수학 영역에서 수준별 시험이 없어진다. 국어는 공통으로, 수학은 문·이과에 따라 가/나형으로 시험이 치러진다. 영어는 올해부터 폐지됐다.
2017학년도 수시모집 원서접수는 2016년 9월 12∼21일에 대학들이 자율적으로 사흘 이상 실시한다. 정시 원서접수는 2016년 12월 31일∼2017년 1월 4일이다. 2017학년도 수능은 고교교육 정상화를 위해 11월 셋째 주인 17일 시행된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2017 수능 필수 한국사 최고 등급은 40∼50점
입력 2014-09-02 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