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장통합, 총회 연금재단 개혁 관심… 합동, 총무선거 불가피

입력 2014-09-01 03:24

한국교회 각 장로교단과 침례교단의 정기총회가 4일 예장중앙 총회를 시작으로 일제히 열린다.

올해 총회에서는 임원선거를 비롯, 교단 간 통합, 연금재단 문제, 선거법 개정 등 교단 발전을 위한 다양한 안건을 다룬다. 하지만 일부 교단에서는 연금재단 투자 의혹과 목사부총회장 후보 미등록 사태가 벌어지는 등 구설수에 올라 성(聖) 총회가 열릴지 미지수다.

22일부터 4일간 서울 강남구 소망교회에서 열리는 예장통합 총회는 연금재단 개혁 문제가 최대 이슈다. 이는 최근 ‘인맥 중심의 거래처 선정’ ‘수수료 과다 지급’ ‘부실기업 등에 편중된 투자’ 등 연금재단의 불투명한 운용 의혹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총회에 상정된 연금재단의 투자처 변경, 금융전문가 중심의 연금재단 이사 구성, 이사들의 연령대와 지역 균등 배치 안건이 어떻게 처리될지 주목된다.

또 목회자 수급 불균형에 따른 목회자의 이중직(자비량 목회) 허용 안건과 총회가 파송했던 은퇴 선교사를 위한 안식관 건립 등 목회자 처우 개선에 대한 헌의안이 다수 올라왔다. 이단사이비에 적극 대처하기 위해 ‘사이비종교 특별법’에 대한 신학·법리적 연구 후 국회에 법안 제정을 청원하자는 헌의안도 눈에 띈다.

22∼26일 광주광역시 겨자씨교회에서 개최되는 예장합동 총회는 임원선거가 최대 관심사다. 현 총무인 황규철 목사가 제기한 ‘총회총무선거금지가처분’ 신청을 법원이 기각함에 따라 이번 정기총회에서 총무선거가 불가피해졌다. 차기 총회장에 자동 추대되는 목사부총회장 선거에는 김승동 박무용 정연철 목사가 출마했고 제비뽑기와 직선제를 병행해 한 명을 선출한다.

70세 정년 준수안, 길자연 총신대 총장 추인, 전 총회장 예우에 관한 연구위원회의 관련 규정 채택, 예장합동 전 총회장들과 예장통합 전 총회장들과의 연합기도회에 대한 대책 등의 처리 방향도 관심을 끌고 있다.

백석 총회는 임원선거 규정을 대폭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임원추천을 4월 봄 노회가 아닌 총회 직전 8월 임시노회를 통해 하기로 했으며 선거운동 기간도 15일 이내로 제한했다. 불법선거 운동을 차단하고 바람직한 선거문화를 정착시키겠다는 취지다. 사무총장 선출과 관련해서도 직선제 폐지를 안건으로 올려 사무총장 선거 과열을 막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헌의안에는 여목사 자격제한 해제, 노회 지역 조정 등도 포함돼 있다.

대신 총회의 최대 관심사는 백석 교단과의 통합 문제다. 양 교단이 총회 개회 예배를 같이 드리자는 안이 오가는 등 기대를 모았지만 4차례 부결된 적이 있어 이번 총회에서 어떻게 처리할지 주목된다. 사상 초유의 목사부총회장 미등록 사태가 불거져 선거관리위원회가 총회 현장에서 부총회장을 뽑기로 한 점은 대신 총회에서 논란거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 예장대신·고신·합신 등 3개 교단 교류추진위원회 안건의 통과 여부도 관심거리다.

기독교한국침례회 총회는 22∼25일 대전 침신대에서 임원선거와 함께 총회회관 부채 해결 방안, 세월호 참사에 따른 구원파 피해 대책 등을 모색한다. 투명한 선거풍토를 만들기 위해 올해 처음 선거공영제를 도입한 기침 총회장 선거에는 곽도희 윤덕남 목사가 총회장 후보로 출마했다.

유영대 박재찬 이사야 기자 ydyoo@kmib.co.kr